文學,藝術/고전·고미술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33] 이토록 우뚝한 母性 드러낸 옛 초상화를 보았는가

바람아님 2013. 8. 17. 11:33

(출처-조선일보 2012.11.18 손철주 미술평론가)


‘운낭자 상(像)’ - 채용신 그림, 종이에 채색, 120.5×62㎝, 1914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그림 오른쪽에 주인공의 이름이 나온다. '운낭자(雲娘子) 27세 초상'이란다. 운낭자는 평안도 가산(嘉山) 관청에 딸린 기생으로, 본명은 최연홍(崔蓮紅·1785~1846)이었다. 나이 27세 때 홍경래의 난(亂)이 일어나자 그는 살해된 가산 군수의 장례를 치르고 군수의 아우를 보살폈다. 그 덕분에 기생 신분을 벗고 논밭까지 하사받는 특혜를 누렸다.

초상화를 그린 때와 화가의 이름은 왼쪽에 씌어 있다. '갑인늑월석지사(甲寅年月石芝寫)'. 갑인년은 1914년이고 늑월()은 윤달의 옛말인데, 그해 윤달인 5월에 그렸다는 얘기다. 석지는 무관 출신의 초상화가로 당대에 솜씨가 으뜸이었던 채용신(蔡龍臣·1850~1941)의 호(號)다.


여인 초상화치고 이처럼 우뚝한 존재감을 드러낸 작품은 별로 없다. 기름을 발라 두상(頭上)에 딱 붙인 머리칼은 흐트러짐 없이 단정하다. 가르마 아래에서 눈썹까지, 관상에서 일컫는 '천정(天庭)치레'도 매우 말쑥하다. 눈매는 부드럽고 입술선은 또렷하다. 두 뺨에 뵐 듯 말듯 드리운 홍조가 수줍게 보인다. 고개를 한쪽으로 약간 틀어 시쳇말로 '얼짱 각도'를 취했는데, 선정성보다 정숙미가 두드러지는 것은 시선에 아무런 도발이 없기 때문이다. 화가는 앞서 살다간 의로운 여인의 이미지를 나름대로 상상해봤을 테다. 그의 붓질은 염색(艶色)이 아닌 모성(母性)을 따라갔다.

운낭자가 안은 아들도 눈길을 빼앗는다. 발가벗은 몸통이 뜻밖에도 포실하다. 손에 노리개를 들고 이빨이 보이도록 활짝 웃는 모습이 당대의 우량아로 선발되는 데 손색없다. 쌍가락지를 낀 운낭자의 손등도 도톰하긴 마찬가지다. 옥색 치마 위로 골이 훤히 드러난 가슴은 지나치게 탐스럽다. 아이의 발육을 보건대 젖이 잘 돌았던 모양이다.

하지만 놓치지 말아야 할 곳은 따로 있다. 당코 저고리의 동정과 치마 끝에 살포시 내민 버선발을 보라. 눈부시도록 새하얗다. 사뭇 신령스러운 기운이다.


(부분확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