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 2017-04-10 17:56
제주도와 마라도 사이에 있는 작은 섬 가파도가 연한 녹색의 청보리로 뒤덮였다. 수면보다 20m 안팎쯤 솟아오른 야트막한 작은 섬이지만 이맘때쯤이면 관광객들로 넘쳐난다. 청보리 축제를 즐기러 오는 손님들이다.
지금은 거의 잊어버렸지만 196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꽃이 피고 보리 싹이 여물어 가는 4~5월을 ‘보릿고개’라고 불렀다. 작년에 뿌린 보리는 아직 여물지 않았고 지난가을에 추수한 식량은 다 떨어져 웬만한 가정에서는 변변한 먹을거리를 찾기가 어려운 시기다. 자연히 보리를 수확할 때까지는 풀뿌리, 나무껍질, 시래기 등으로 겨우겨우 끼니를 이어 가야만 했다. 굶어 죽는 사람들도 부지기수였다. 굶어 죽지 않으려고 덜 익은 보리를 베어다 삶아 먹기도 했다. 보릿고개는 조선조를 거쳐 일제강점기 때 절정에 이르렀다. 해방이 됐지만 6·25전쟁 등을 겪으면서 좀처럼 보릿고개를 벗어나질 못했다.
“보릿고개 밑에서 아이가 울고 있다/아이가 흘리는 눈물 속에 할머니가 울고 있는 것이 보인다/?어머니가 울고 있다/(중략). ?코리아의 보릿고개는 높다/ 한없이 높아서 많은 사람이 울며 갔다/ 굶으며 넘었다/ 얼마나한 사람은 죽어서 못 넘었다/ 코리아의 보릿고개 안 넘을 수 없는 운명의 해발 구천미터?.”
지난 8일 작고한 황금찬 시인은 ‘보릿고개’라는 시에 우리 민초들이 겪어야만 했던 굶주림의 고통을 절절하게 그렸다. 황 시인에게도 보릿고개는 가슴 아픈 기억으로 남았을 것이다. 보릿고개를 넘는 게 대륙별로 가장 높다는 산 에베레스트, 몽블랑, 킬리만자로보다 높고 위험하다고 했다. 아름다운 꽃이 피고 만물이 소생하는 봄이 오는데도 우리는 제대로 먹을 것이 없어 굶어 죽는 위험하고 고통스러운 시기였다니?. “잘 잊게 해주는 눈(雪)으로 대지를 덮고, 구근(球根)으로 약간의 목숨을 대주었기에 겨울은 오히려 따뜻했다”는 T S 엘리엇의 ‘황무지’ 시구처럼 우리 조상에게 4월은 정말 잔인한 달이 아닐 수 없었다.
보릿고개라는 말이 사라진 지 50여년이 지난 지금은 비만을 걱정하는 시대가 됐다. 뱃살을 빼려고 돈을 쓰고 보리밥을 찾는다. 가파도에 몰려드는 인파는 푸른 파도와 어우러진 보리밭의 풍광과 함께 아련한 추억으로 남아 있는 보릿고개를 잊지 않기 위함이 아닐까.
이동구 논설위원 yidonggu@seoul.co.kr
'人文,社會科學 > 時事·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런웨이 조선] 목이 부러질지언정…가체, 벗지 못할 욕망 (0) | 2017.04.11 |
---|---|
[팀 알퍼의 한국 일기] 마흔이 되어 찾은 즐거움 (0) | 2017.04.11 |
[시론] 세상은 우리가 보는 대로 존재한다? (0) | 2017.04.09 |
[Why] '독고다이'가 단독 플레이? (0) | 2017.04.09 |
[글로벌 포커스] 강대국들은 한국 통일을 바라지 않는다고? (0) | 2017.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