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 2017-08-21 17:52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봄 한철 격정을 인내한 /
나의 사랑이 지고 있다//
분분한 낙화/
결별을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지금은 가야 할 때//
무성한 녹음과 그리고/
머지않아 열매 맺는/
가을을 향하여/
나의 청춘은 꽃답게 죽는다//
헤어지자/
섬세한 손길을 흔들며/
하롱하롱 꽃잎이 지는 어느 날//
나의 사랑, 나의 결별,/
샘터에 물 고이듯 성숙하는/
내 영혼의 슬픈 눈”(이형기, 시, ‘낙화’, 전문)
그래서 그런지 뒤늦게 찾아온 가을이 여간 반갑지가 않다. 흔히들 가을을 별리의 계절이라고 한다. 물론 이는 계절에 대한 통념으로 사실이나 진리에 부합하지 않는다. 세계나 대상에 대한 의미나 가치는 인식 주체의 내면세계 즉 정서나 경험 등에 의해 굴절되게 마련이어서 사람에 따라서는 가을이라는 대상이 이별이니 조락의 느낌보다는 외려 생동하는 기운과 내용으로 다가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초가을은 시간의 문이다. 헌 절기가 나가고 새 절기가 들어오는 문턱에서 우리는 감상에 젖기도 하고 새로운 각오를 다지기도 한다.
이별은 마냥 두렵고 아픈 일인가. 세속의 관점에서 보면 그렇다. 이별은 때로 사람을 심리적 공황 상태에 이르게 한다. 절실한 인연일수록 더욱 그렇다. 하지만 이별이라는 현 실태 이면의 진실에 주목한다면 이별이 마냥 회피해야 할 대상만은 아니다. 이별이 없고서야 어찌 더 큰 만남이 있을 수 있겠는가. 이형기 시인의 시구처럼 “가야 할 때를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그렇다. 때로 이별은 아름답다. 이별은 더 큰 영혼의 성숙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냇물이 냇가를 고집한다면 강물이 될 수 없고 강물이 끝나야 바다에 이를 수 있다. 헤어져야 더 크게 이를 수 있고 닿을 수 있다. 낙화 뒤에 열매가 생기는 것처럼 헤어져야 더 크게 열리고 만날 수 있는 것이다.
“이별은 미의 창조입니다. (중략) 님이여, 이별이 아니라면 나는 눈물에서 죽었다가 웃음에서 다시 살아날 수가 없습니다. 오오 이별이여, 미는 이별의 창조입니다.” (한용운, 시, ‘이별은 미의 창조’, 부분) 만남은 이별 뒤에 오기 때문에 더욱 아름다울 수 있으며, 꽃이 아름다운 것은 고통과 절망을 통과했기 때문이다. 여름이 가고 가을이 오고 있다. 새롭게 만나기 위해 보낼 것은 기꺼이 보내기로 하자. 사물도, 인연도, 시절도!
'人文,社會科學 > 敎養·提言.思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영옥의 말과 글] [10] 연천 미라클 야구단 (0) | 2017.08.26 |
---|---|
[살며 사랑하며-윤고은] 이미 애프터 (0) | 2017.08.23 |
[삶과 문화] 클래스 (0) | 2017.08.21 |
[Why] 아뇨. 죄송합니다. 그건 좀 어렵겠어요. (0) | 2017.08.19 |
[삶과 문화] 못내 불편한 마음 (0) | 2017.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