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2017-05-30 권용진 객원기자)
[인터뷰 플러스]
‘인간 퇴계’ 배우기 10년… “배움이 많은 곳에 몸이 있다”
김병일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이사장
‘퇴계처럼, 선비처럼’.
퇴계처럼 : 조선 최고의 리더십을 만난다 | 선비처럼 |
이는 나라와 국민을 위한 심부름에 평생을 받쳐 온 김병일 전 기획예산처 장관이 펴낸 두 권의 칼럼 모음집 제목이다.
퇴계 이황 선생의 철학사상과 삶이 담긴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이사장으로 추대돼 10년 전 취임한 게 원인이다.
서울신문 ‘사람과 향기’ 코너에 6년 넘게 칼럼을 연재한 것이 결과다.
김병일 이사장에게 ‘퇴계처럼, 선비처럼’이란 ‘인간존중, 인간사랑’이다.
퇴계 16대 종손 86세 이근필 옹이 무릎 꿇는 삶의 현장이다. 그 공손함과 공경심의 현장이다.
퇴계 선생이 500년이란 시공을 넘어 21세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과 소통하는 스마트 폰이다.
스마트 폰이 제 기능을 다 하려면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돼야 하듯 현대인들이 자존감 넘치는 행복한 삶을 살자면 ‘존경과 사랑’이 충만해야 한다. 그래서 ‘퇴계처럼, 선비처럼’의 같은 말은 ‘존경과 사랑’이다. 현대인의 스마트폰 속 애플리케이션이다.
▲ 김병일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 이사장이 퇴계의 삶과 정신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수기치인(修己治人). 선비의 목표이자, 삶의 덕목이다.
나의 몸과 마음을 닦는 수기함으로 사람과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치인은 말하자면 ‘참 사람다운 사람, 참 선비다운 선비’이다.
퇴계 선생이 도산서원을 만든 참뜻이다. 또 초심(初心). 선비의 마음이자, 행동강령이다.
초심은 그래서 ‘평생 공직자’ 김 이사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드리는 사랑과 존경의 ‘퇴계처럼, 선비처럼’이다.
“5년 동안 늘 깨어 있어야 한다”는 김 이사장의 진충언(眞忠言)이다.
“배움이 많은 곳에 몸이 있다”는 김 이사장.
‘인간 퇴계’ 배우기 10년 차인 그의 향기를 찾아 그 한결같은 배움터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의 굽이진 역사 길을
따라 걸었다. 김 이사장의 하얀 도포 자락이 청록의 5월 끝자락에서 뿜어내는 향기는 빨갛고 새콤달콤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사장께서는 전 기획예산처 장관 등 30년 관료생활을 하신 분이신 데요, 퇴계사상을 연구하기 위해 2008년부터
안동에 살면서 ‘퇴계처럼’(2012년)에 이어 ‘선비처럼’(2015년)이라는 책을 펴 내셨습니다.
-퇴계 선생님 곁으로 2008년 초에 왔으니 10년 차네요. 처음에는 이렇게 오래 있을 줄 몰랐습니다.
배움이 많은 곳에 몸이 있게 되었다고 할까요. 부족한 사람은 계속 배울 게 많습니다.
10년째 배우고 또 배우고 있습니다.
2005년 공직을 그만두었을 때 서울에서 서당을 다니고, 뉴욕 마라톤 대회에 출전하고 했는데, 2008년 초에 걷다가
그만 다리를 다쳐 거동할 수 없었습니다. 그런 상태에서 나를 이사회에 부르지도 않고 이사장으로 선임했습니다.
추대라는 이름으로요.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의 이사장이 됐습니다.
평생을 나라 심부름한 사람이 수련원을 찾아온 사람들에게 수련 잘되라고 하면 되겠어요? 그래서 쓴 책이 ‘퇴계처럼’입니다.
‘선비처럼’은 서울신문에 ‘김병일 사람과 향기’로 6년간 칼럼을 썼는데, 70~80개 모였어요. 그걸 모아서 책을 내게 된 거죠.
→퇴계사상 연구에 매료되신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퇴계 사상 그건 뭐 내게 언감생심, 그건 전혀 다른 이야기입니다.
퇴계 선생의 인간존중의 삶, 섬김의 삶. 여기에 내가 빠져들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학자 퇴계와 전혀 다른 인간 퇴계를 만나게 된 거예요.
여성들의 권익이 과거 경상도에서 상당히 보장을 받지 못했다는 선입견을 산산이 깨뜨리는 여성존중 페미니스트였어요.
인간 퇴계의 그 진솔을 느낀 거죠. 어마어마한 충격이었습니다.
▲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전경.
→인간 퇴계란 어떤 분입니까.
-인간 퇴계는 살아가시면서 삶 속에서 시간 보내면서 사람 만날 거 아닙니까?
그런데 말이죠. 가끔 만나는 사람들에게는 연기할 수 있습니다만.
맨날 같이 있는 가족들에게 연기할 수 있습니까? 본성이 드러나는 거지.
바로 그 예가 둘째 부인, 권 씨 부인은 정신이 아주 온전치 못했습니다.
별별 이 지역의 에피소드가 전해 내려오고 있지요.
퇴계선생은 그런 둘째 부인을 그야말로 보듬고 또 보듬었어요. 그게 바로 퇴계선생의 위대함입니다.
인간 퇴계의 진면목인거죠.
→그래도 퇴계선생은 한국정신문화의 한 축인 성리학의 본류이신 데요.
-그렇지요. 퇴계선생은 성리학에 충실한 삶을 사셨습니다. 요즘 표현으로 하면 인간사랑 인간존중 자연사랑의 삶이지요.
선비정신은 선비들이 살아간 삶과 그들이 추구한 가치란 말이에요.
그럼 선비는 누구냐, 선비는 공자의 가르침인 유학을 평생토록 공부하고 실천한 사람입니다. 이점이 우리하고 아주 다른 거죠.
우린 지금 공부하고 생활은 전혀 다르게 하죠. 하지만, 퇴계선생은 35살 차이 나는 26살 율곡을 인간적으로 대우했습니다.
→퇴계선생께서 성리학의 실천적인 삶을 사셨다는 말씀이시죠.
-퇴계 선생은 유학을 평생 공부하고 실생활에서 실천하신 분입니다. 그럼 그 실천이 뭐냐, 우선 수기안인(修己安人)입니다.
나의 인격을 닦고 남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죠.
우리 엄마가 애한테, 저는 공부 안 하고 애한테 공부하라 공부하라 그러죠?
선생이 창문 자기가 안 닫고 비오니까 ‘야 문 닫아라’ 하지?
이게 다른 사람을 다스리는 치인만 알지 자기 인격수양인 수기를 저 위에 걸어놓고 있는 겁니다.
그런데 그분들의 위대함은 자기를 먼저 수기한 다음에 치인을 했지요.
또 치인을 우리가 통치라고 생각하면 큰일입니다.
치산치수할 때 우리가 산을 다룹니까? 물을 다룹니까?
보호하지. 산도 이렇게 보호하고 물도 보호하는데 살아있는 인간을 함부로 하면 되겠어요?
수기치인(修己治人)은 수기안인(修己安人)인데, 수기안인을 그분들은 순서를 바꾸지 않았습니다.
수기한 다음에 안인을 했습니다.
→그럼, 인간퇴계를 널리 알릴 방법은 어떻습니까.
퇴계선생의 삶이 완전히 성리학적 삶이잖아요. 학자들은 인간존중, 천인합일 완전히 그것을 학문적으로 얘기하시는데
내가 언제 공부해서 그런 걸 감히 얘기할 수 있겠어요. 내가 지금부터 아무리 해봤자 이 나이에 이 머리로 석사를 하겠어요?
그분들은 성리학을 학문으로써 하고 나는 성리학을 실천하신 퇴계선생의 삶을, 치열한 삶으로 성리학에 충실한 퇴계선생의
삶이 너무 소중한 겁니다. 성리학적인 퇴계선생의 삶을 세상에 좀 알리는 데에 뭔가 좀 힘을 보탰으면 해서 수련원에도 있고
칼럼도 쓰고 여기저기 오라고 하면 더듬더듬 얘기하고 그러고 있어요.
→현대사회에서 퇴계 선생 같은 실천하는 삶은 어렵다고 보여지는데요.
-현대사회에서 그렇게 하면 김수환 추기경같이 존경받고, 프란치스코 교황같이 존경받겠지요.
그런데 성직자만 그런 게 아닙니다. 세계은행 김용 총재도 바로 어머니가 세계적인 퇴계학자 전옥숙 여사입니다.
의사가 세계은행 총재에 연임된 것은 앞에서 말한 수기안인을 했기 때문이에요.
→선비문화수련원에서 교육받으면 삶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리가 많이 부족합니다. 이곳에 작년에 10만5000명이 왔습니다. 올해 목표가 13만명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만 해도 그렇게 살아가야 할 사람이 5천만명 아닙니까. 아직 수적으로 멀었지요.
→전국의 서원에서 같은 프로그램으로 운영하지 않습니까.
-아닙니다. 우리 같이 퇴계선생처럼 선비정신으로 살아가자 하는 곳은 내가 알기로는 많지 않아요.
다른 데는 아직 예절교육이나 경전공부입니다. 서원과 향교는 인성교육을 주로 하지요.
→서원교육이라는 게 첫째는 인성교육인가요.
-궁극적으로는 그것 아니겠어요. 궁극적으로는 사람다운 사람을 만들기 위해서 옛날에 서원이 생겼어요.
아시겠지만, 원래 우리는 교육을 중시해서 고려부터 과거시험, 조선시대는 고을마다 향교를 만들었지요.
퇴계 선생은 다른 생각을 갖고 계셨던 것으로 보여요.
참 사람다운 사람, 참으로 선비다운 사람이 필요하다고 절감하신 분이 퇴계선생입니다.
그래서 서원교육의 궁극은 인성 바른 사람, 사람답게 사는 사람을 육성하려고 했던 것이죠.
이 서원이 지금 궁극적으로는 그렇게 가야하지 않겠습니까.
→바른 인성을 갖추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만.
-사람이 바뀌기가 쉽지 않죠. 그렇지만 안 할 수도 없잖아요.
그런데 말이죠. 사람이 또 어디 가서 외국 가서 한 번 보고 ‘아’ 하고 감동을 받으면 평생을 하잖아요.
가급적이면 감동이 일어나도록 해야겠죠. 지금 단계에서는 퇴계선생의 위대함보다는 퇴계종손이라고 봅니다.
21세기 사는 어른이 저렇게 하나 싶으면 따라 배우려는 사람이 생기지 않겠습니까.
5백년 보다는 현재, 퇴계종손보다는 보통사람들, 보통사람들이 하는 것을 보면 ‘아 나도 저렇게 하겠다’는 마인드가 오는 거죠.
→그렇다면, 퇴계사상의 핵심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어떻습니까.
-공경. 공경 경(敬)인데, 모든 것의 경우를 실천하는 거예요. 경이라는 것은 첫 번째로 정제엄숙입니다.
몸을 아주 가지런히 하고 마음을 엄숙하게 하는 게 정제엄숙이고, 그다음에 주일무적인데요.
하나에 주력하고 생각을 옮겨 다니지 말라는 것입니다. 한군데 생각을 모으고 집중하라는 거죠.
그다음에 상성성입니다. 항상 깨어 있어야 돼요.
맨 마지막으로는 기심수렴. 마음을 한군데로 모으는 거에요. 퇴계선생 도산서원에 가보세요.
방이 작지만 책 읽는 곳이기 때문에 주무시는 곳은 아주 작아요. 그런 곳에서 주무셨어요.
퇴계선생 삶에 대해서는 내가 10년 동안 해도 고개가 절로 숙여집니다.
→주제를 좀 바꿔서요. 문재인 정부가 출범했습니다.
선비정신이란 측면에서 특별히 당부하고 싶은 말씀은.
-당부는 가당치 않고… 바람이라면 41%의 지지율로 당선이 되었는데 지금은 지지율이 80% 후반대로 배 이상 늘었잖아요.
그건 뭘 의미하냐면, 종전에 지지한 사람뿐 아니라 지지하지 않은 사람들도 대단히 많이 지지하고 있는 거예요.
왜 그렇겠어요? 튼튼한 안보와 국민 통합 메시지를 읽어서 그렇게 확 늘지 않았겠어요?
국민이 어떨 때 지지를 보낸다 하는 것을 알 수 있지 않겠어요?
국민이 원하는 게 뭔지, 어떨 때 지지를 보내는지… 그것도 역대 정부 초기보다도 지지율이 더 높은 걸 보면 우리 국민이
더 지지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지 않겠어요. 그러나 어떤 정부도 그것을 계속 유지하지를 못했잖아요.
그런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결국은 항상 초심으로 하는 것. 바로 초심으로 하는 걸 제일 강조한 사람이 선비입니다.
선비는 한결같이! 선비정신으로 초심을 잃지 않는 그런… 지금처럼 끝까지 쭉 하면 되겠네요.
→문재인 정부가 인사를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시는지요.
-그건 내가 얘기할 수 없지요. 사람들이 다양하잖아요. 그래도 굳이 말한다면 그건 뭐 그야말로 적재적소에 쓰는 거지요.
인사가 만사 아닙니까? 지인지각. 사람을 보는 능력이 최고의 능력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참 안타까운 게 그 점이 아니었어요? 그러니까 5년 동안 지금처럼 되려면 계속해서 깨어 있어야 해요.
한시도 이만하면 되었다가 아니에요. 우리 국민 참 한 사람 한 사람 보면 별로 같은데 민의가 나타난 거 보면 놀랍지 않아요?
→마지막으로 국민에게 당부하실 말씀은 무엇인가요.
-당부보다는 인간은 자기 자신이 제일 소중하잖아요. 우리가 그런데 자신을 소중히 여기지 못하는 것 같아요.
자살률이 높아지는 걸 보면, 목숨까지도 내어버릴 정도로 소중히 여기지 않는 이런 세상을 살아가는 분들이 있잖아요.
돈을 목숨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들이 있잖아요.
그래서 가장 자기를 소중하게 여기는 것은 남을 소중하게 여겨야 되는 것이에요.
내가 배우자를 소중히 여겨야 배우자가 나에게 잘 대해주니까 소중한 내가 다시 확인이 되는 거죠.
내가 소중하다고 내가 일등 너는 꼴등이라고 그렇게 취급해 봐요. 그럼 내가 어디 가겠나.
내가 소중할수록 남을 소중하게 여겨야 해요. 내가 안전할수록 우리 공동체가 안전합니다.
내가 발전하려면 우리 공동체가 발전해야 하고, 공동체는 가정도 있고 직장도 있고 대한민국도 있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그랬어요. 내가 국가에 요구하기에 앞서서 내가 먼저 국가를 위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
이것이 바로 선비정신이고 퇴계선생의 실천이에요. 퇴계선생은 누군가에게 요구나 충고 한 번도 안 했습니다.
충고해달라고 하면 조심조심 상대방의 요구를 들어드렸을 뿐이지요.
하고 나서도 내가 옳게 답을 했나 싶어서 책상에 벽에 편지 쓰고 붙이고. 제자들이 왜 붙입니까? 물어보면
내가 답을 했는데 이게 맞는 답인가 아닌가 살펴봐야겠다.
그리고 자성록이라는 책을 써요. 스스로 반성한다는 책.
그게 수많은 사람이 질문한 것에 대해 답을 쭉 하시는 삶을 사셨잖아요?
이를 본받은 국민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時事論壇 > 時流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과 내일/박정훈]평창 이후가 더 걱정이다 (0) | 2018.01.09 |
---|---|
북한이 평창 오면 한국은 평양 가려나 (0) | 2018.01.08 |
[강천석 칼럼] '5년 후 또 오시겠네요' (0) | 2018.01.07 |
[최보식 칼럼] 文 대통령은 탯줄 잘라준 할머니에게 과일 바구니 보냈는데.. (0) | 2018.01.06 |
<포럼>김정은에 굽실대선 안 되는 4大 이유 (0) | 2018.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