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2018-02-19 03:00
원숭이 조련 ‘농후자’
18세기 그림 ‘태평성시도’의 일부. 염소를 곁에 둔 농후자가 원숭이 두 마리로 공연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꼭두각시 무대에 올라오자/동방에 온 사신은 손뼉을 친다/원숭이는 아녀자를 깜짝 놀라게 해/사람이 시키는 대로 절도 하고 꿇어도 앉네.”―박제가의 ‘성시전도시(城市全圖詩)’에서
조선 후기 다양한 공연 문화가 꽃피는 가운데 원숭이로 공연하는 걸 ‘후희(후戱)’라고 했다. 원숭이를 길들이고 조련하는 사람은 ‘농후자(弄후者)’라고 불렸다.
한반도에 서식하지는 않지만 우리 민족은 일찍부터 원숭이를 키웠다. 고구려 고분 벽화에 원숭이를 나무에 오르게 하는 장면이 있다. 삼국유사에는 이차돈이 순교한 뒤 원숭이가 떼 지어 울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 문인 이인로는 ‘파한집’에 “첩첩산중에 원숭이 울음소리뿐이구나”라는 시구를 남겼다. 조선 전기 문인 최수성은 원숭이를 길러 편지를 전하는 데 썼다는 기록이 있다.
원숭이는 외교 선물로 이 땅에 들어왔다. 지금도 그렇지만 동물은 국가 간 친선을 도모하는 수단이었다. 조선은 명나라에 매와 사냥개를 보냈고, 명나라와 일본에서 원숭이를 받았다. 원숭이는 사복시 관원이 맡아 키웠다. 태종 대에는 원숭이 수가 크게 늘어 궁 밖으로 분양했다. 원숭이가 탈출해 야생화되기도 했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궁궐뿐 아니라 저잣거리에서도 농후자가 공연을 했다. 공연은 원숭이 습성을 이용했다. 원숭이가 높은 곳을 잘 오르는 점을 활용해 까마득히 높은 솟대를 세우고 끝에 먹이를 둔 다음 원숭이가 뛰어오르도록 했다. ‘태평성시도(太平城市圖)’에는 원숭이 두 마리에게 목줄을 매 높은 솟대에 오르게 하는 공연 장면이 나온다. 이 장면에서 갓을 쓴 농후자는 염소를 곁에 두고 있다. 원숭이가 염소를 타는 공연도 했을 것이다.
조선 후기 다양한 공연 문화가 꽃피는 가운데 원숭이로 공연하는 걸 ‘후희(후戱)’라고 했다. 원숭이를 길들이고 조련하는 사람은 ‘농후자(弄후者)’라고 불렸다.
한반도에 서식하지는 않지만 우리 민족은 일찍부터 원숭이를 키웠다. 고구려 고분 벽화에 원숭이를 나무에 오르게 하는 장면이 있다. 삼국유사에는 이차돈이 순교한 뒤 원숭이가 떼 지어 울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 문인 이인로는 ‘파한집’에 “첩첩산중에 원숭이 울음소리뿐이구나”라는 시구를 남겼다. 조선 전기 문인 최수성은 원숭이를 길러 편지를 전하는 데 썼다는 기록이 있다.
원숭이는 외교 선물로 이 땅에 들어왔다. 지금도 그렇지만 동물은 국가 간 친선을 도모하는 수단이었다. 조선은 명나라에 매와 사냥개를 보냈고, 명나라와 일본에서 원숭이를 받았다. 원숭이는 사복시 관원이 맡아 키웠다. 태종 대에는 원숭이 수가 크게 늘어 궁 밖으로 분양했다. 원숭이가 탈출해 야생화되기도 했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궁궐뿐 아니라 저잣거리에서도 농후자가 공연을 했다. 공연은 원숭이 습성을 이용했다. 원숭이가 높은 곳을 잘 오르는 점을 활용해 까마득히 높은 솟대를 세우고 끝에 먹이를 둔 다음 원숭이가 뛰어오르도록 했다. ‘태평성시도(太平城市圖)’에는 원숭이 두 마리에게 목줄을 매 높은 솟대에 오르게 하는 공연 장면이 나온다. 이 장면에서 갓을 쓴 농후자는 염소를 곁에 두고 있다. 원숭이가 염소를 타는 공연도 했을 것이다.
박제가가 쓴 ‘성시전도시’ 속 원숭이는 사람처럼 절하고 꿇어앉기도 한다. 원숭이가 사람처럼 행동하도록 조련한 공연이다. 이는 중국 사신에게 선뵐 만큼 진귀한 모습이었다.
조선 후기 문인 조수삼이 쓴 ‘추재기이(秋齋紀異)’에 ‘농후개자’라는 인물이 나온다. 농후개자는 원숭이로 공연하며 구걸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벌이가 시원치 않아 거지 행색을 면하지 못했던 것. 보는 사람이 감탄하며 돈을 낼 만큼 기묘한 재주를 선보이려면 원숭이를 혹독하게 조련해야 했지만 농후개자는 한 번도 원숭이에게 채찍을 들지 않았다. 또 아무리 피곤해도 집으로 갈 때면 원숭이를 어깨에 올려놓았다.
농후개자가 죽자 원숭이는 배웠던 대로 사람처럼 울면서 절을 해 돈을 구걸했다. 이 모습을 본 사람들이 돈을 추렴해 거지를 화장했다. 홀로 남은 원숭이는 구슬픈 울음소리를 내며 불길로 뛰어들었다고 한다. 농후개자와 원숭이는 주인과 물건의 관계가 아닌 함께 살아가는 동료였던 것이다.
홍현성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조선 후기 문인 조수삼이 쓴 ‘추재기이(秋齋紀異)’에 ‘농후개자’라는 인물이 나온다. 농후개자는 원숭이로 공연하며 구걸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벌이가 시원치 않아 거지 행색을 면하지 못했던 것. 보는 사람이 감탄하며 돈을 낼 만큼 기묘한 재주를 선보이려면 원숭이를 혹독하게 조련해야 했지만 농후개자는 한 번도 원숭이에게 채찍을 들지 않았다. 또 아무리 피곤해도 집으로 갈 때면 원숭이를 어깨에 올려놓았다.
농후개자가 죽자 원숭이는 배웠던 대로 사람처럼 울면서 절을 해 돈을 구걸했다. 이 모습을 본 사람들이 돈을 추렴해 거지를 화장했다. 홀로 남은 원숭이는 구슬픈 울음소리를 내며 불길로 뛰어들었다고 한다. 농후개자와 원숭이는 주인과 물건의 관계가 아닌 함께 살아가는 동료였던 것이다.
홍현성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잡史]머리-화장-주례까지… 만능 결혼식 도우미 (0) | 2018.04.28 |
---|---|
[정민의 世說新語] [464] 육일섬여 (六日蟾蜍) (0) | 2018.04.27 |
[조선의 잡史]모기 소리 내며 도적 흉내 몸짓… 팬 몰고다녀 (0) | 2018.04.23 |
[정민의 世說新語] [463] 취우표풍 (驟雨飄風) (0) | 2018.04.20 |
[조선의 잡史]채제공 문집 내는 데 판각비로 요즘돈 10억 (0) | 2018.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