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19.09.07 어수웅·주말뉴스부장)
[아무튼, 주말- 魚友야담]
3루서 태어나고는 3루타 친 것처럼 군다
어수웅·주말뉴스부장
프로야구 10개 구단 팬들이 모두 응원하는 선수가 있습니다. LG트윈스 한선태(25).
오늘 커버스토리의 주인공입니다. 학창 시절 야구부는 구경도 못 한 비(非)선수 출신인데,
프로야구 1군이 됐죠. 전례 없는 일입니다.
아시다시피 요즘은 재능과 돈이 함께 받쳐줘야 가능한 게 운동이죠.
한선태는 편의점 알바 뛰며, 종이 박스 접어 생활비를 벌며 사회인 야구를 했습니다.
빽도 없고 돈도 없는 '무스펙 청년'의 10년 꿈. 첫 등판 때 던진 공에 최일언 투수 코치가
이렇게 적었답니다. "젊어서 흘리지 않는 땀은 늙어서 눈물로 나온다."
지난해 3월 첫 주 커버스토리의 주인공은 낮에는 국자 잡고 밤에는 소설 쓰는 청년이었습니다.
김동식(34). 네, 정말 국자입니다.
서울 성수동 주물공장에서 500도 넘는 액체 아연을 국자로 떠서 10년 동안 금형 틀에 부었죠.
중 1을 마지막으로 학교에 간 적이 없었습니다.
엉망진창 맞춤법으로 시작했지만, 네티즌들이 지적하면 하나하나 고치고 배웠습니다.
학벌도 족보도 없이 평지돌출한 이 청년 작가의 소설은 묘하게 매력적이었고, 첫 책 '회색인간'은 중쇄(重刷)를 거듭했죠.
이 청년 작가를 보면서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생각 없는 젊은이라면 학교에 있어도 허송세월, 반대로 참된 젊은이라면 학교 밖에서도 배운다.
유리천장이 아니라 유리바닥이라는 조어가 있습니다.
성차별, 인종차별로 고위직으로의 길을 막는 게 전자라면, 자녀가 추락하지 않도록 부모가 막아주는 장치가 후자죠.
필기시험 한 번을 치르지 않고 고려대와 부산대 의전원에 들어간 법무장관 후보자의 딸이 요즘 논란 한가운데 있습니다.
착취만 불평등을 만드는 게 아닙니다. 다른 아이의 기회를 빼앗는 것 역시 불평등을 만들죠.
부모라면 누구나 자신의 아이를 돕고 싶어하지만, 다른 아이의 기회를 빼앗거나 해를 끼쳐서는 안 될 겁니다.
그런데도 많은 엘리트의 자식들은 자신의 노력으로 그 자리까지 왔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죠.
오늘의 커버스토리 종목을 빌리면 3루에서 태어나놓고 자신이 3루타를 친 것처럼 구는 겁니다.
택배로 생활비 벌며 마침내 프로 1군이 된 야구 선수와 10년 넘게 주물공장 국자를 잡고 소설을 썼던 작가를 생각합니다.
뜻깊은 추석 보내시기를.
10개 구단 팬이 응원한다…'無 스펙' 동네 야구 출신의 반란 [아무튼, 주말- 김미리 기자의 1미리]
| |
회색 인간
책소개 작가는 10년 동안 공장에서 노동하면서 머릿속으로 수없이 떠올렸던 이야기들을 거의 매일 게시판에 올렸다. '김동식 소설집'은 그렇게 써내려간 300편의 짧은 소설 가운데 66편을 추려 묶은 것이다. |
'人文,社會科學 > 時事·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가리고, 악기도 연주..고공 외줄 타기 끝판왕은 바로 나! (0) | 2019.09.09 |
---|---|
소련 비밀 품은 2000km 러시아판 '카타콤' (0) | 2019.09.08 |
獨 빌레펠트, "우리 존재하지 않는 것 증명하면 100만 유로 주겠다" (0) | 2019.09.07 |
[윤희영의 News English] 바나나의 얼룩 반점 (0) | 2019.09.05 |
[천자 칼럼] 명문가(家)의 조건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