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2020.01.10. 00:48
현실된 '중화민족의 중흥'에 충격
추진력은 중국식 '자유·평등·공정'
분열의 한국 이러다 변방이 되나
중국에 다녀왔다. 시진핑 주석이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해상 실크로드) 경유 국가의 언론에 ‘감지(感知) 중국’(Experience China)을 해보라는 행사에 초대됐다. 남중국해~인도양~지중해~남태평양을 연결하는 중국 남부의 해상 실크로드(一路) 거점을 도는 8일간의 여정이었다. 광둥성(廣東省) 광저우(廣州)·주하이(珠海)·후이저우(惠州), 푸젠성(福建省) 샤먼(廈門)·취안저우(泉州)·푸저우(福州) 등 6개 도시를 2000㎞ 움직이며 둘러봤다.
애초에 큰 기대는 없었다. 우즈베키스탄·키르기기스탄·카자흐스탄·파키스탄·이집트 등 일대일로에 속한 개발도상국 기자 20여 명의 신사유람단에게 신발·봉제·굴뚝 산업 등 ‘세계의 하청 공장’이나 과시하겠거니 했다. 알리바바·텐센트·화웨이가 있다지만 ‘촌스러운’ 중국을 벗어났겠느냐는 알량한 우월감도 작용했다. 허나 착각이었다. 한국 기자로서 중국에서 뭘 감동할까 하는 무지한 선입견은 속절없이 무너졌다.
광저우 황푸(黃埔)에선 첨단 드론과 3D 인식 기술을 연구하는 젊은 벤처기업인들의 열정을 만났다. 주하이에선 홍콩~주하이~마카오를 잇는 세계 최장의 강주아오 해상 대교(55㎞)를 보며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의지를 읽었고, 후이저우에선 삼성·LG에 이어 제3의 가전회사로 발돋움한 TCL의 위협을 느꼈다. 샤먼에서는 서울 뺨치는 스카이라인에 주눅이 들었고, 취안저우에선 700여 년 전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이 전한 이슬람 문화권과의 교역 흔적을 발견했다. 푸저우에선 명(明)나라 때 정화(鄭和) 함대가 개척했던 바다 비단길을 되살리겠다는 거대한 비전을 목도했다.
실크로드를 개척한 때가 한(漢)나라요, 그 길을 따라 교역이 활발하게 오간 시기가 당(唐)나라다. 중국은 강력한 한나라와 융성한 당나라, 즉 강한성당(强漢盛唐)의 영광을 그리워한다. 보여주고 싶은 것만 선별했다 해도 버스·기차·배를 타고, 또 걸으며 본 거점 도시들에서 기운이 전해졌다. 역동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생물체의 기운이다. 수천 년 전통 속에 초현대식 첨단 건물이 공존하고, 하늘을 가릴 정도로 수많은 공사 크레인은 믿기지 않는 풍경이었다. 말로만 듣고, 글로만 보던 21세기 비단길을 향해 꿈틀거리는 중국몽(中國夢) 앞에 소름마저 돋았다.
1인당 GDP 3만 달러에 좀 산다는 나라의 필자가 감동하였으니 5000달러도 안 되는 국가 기자들의 충격은 말해서 무엇하랴. 만찬 때면 대접 나온 중국 관료들은 일대일로 협조와 동참을 당부하고, 기자들은 널리 알리겠다고 장단을 맞췄다. 곁에서 본 바로는, 일대일로에 편입되면 자국의 경제도 덩달아 발전할 것이라는 애국심이 담긴 맞장구였다.
14억 인민이 편히 먹고사는 소강(小康)사회를 이루고, 2049년 미국을 제치고 세계제국이 되겠다는 게 중국의 원대한 포부다. 답사 중에 흥미로운 구호를 접했다. ‘사회주의 핵심 가치관’이라는 제목 아래 쓰인 ‘자유·평등·공정·법치’라는 슬로건이었다. 도로 등 곳곳에 붙어 있었다. 부연 설명문은 이렇게 적었다. “인간 의지·존재·발전의 자유, 법률 앞에서 참여와 권리의 평등, 공평과 정의의 공정, 정치의 기본으로서 법치”라고 했다.
중국인 일행에게 좀 더 물었다. “서양의 시각으로 보지 말라. 중국 특유의 자유·평등·공정·법치가 있다. 그 안에서 우리는 행복하고 더 잘 살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이 시대에 사회주의 시장경제와 자본주의가 무슨 차이가 있는가”라는 답이 돌아왔다. 또 “시진핑 주석이 젊었을 때 한국 배우 송중기와 닮아 인기가 있다”며 ‘시 황제’의 장기 집권을 옹호했다. 정리하자면, 시 주석과 공산당 일당 체제가 결정하는 가치관이라는 비판이 있겠지만 인민의 사고와 행동에서 명확한 판단 기준을 제시한다는 의미였다. 우리처럼 위선과 거짓이 낄 틈이 없는 정직한 개념이 일대일로를 향한 통합의 힘일 수 있겠다고 이해했다.
문재인 정부에는 ‘평등·공정·정의’가 있다. 하지만 내편과 네편에 따라 내로남불이 되는 이중적 가치들이자 완벽한 분열을 조장하는 잣대로 변질했다. 선거법·공수처법에 이어 ‘검찰 대학살’로 불리는 보복 인사까지 ‘민주적 독재’를 감행하는 걸 보면 일당 독주의 중국보다 나은 게 뭔지 의문이다.
이번 여정은 머지않은 시간 중국에 알현하는 날이 다시 올 거라는 불길한 예감을 줬다. 실크로드의 실현은 21세기판 조공(朝貢) 질서의 구축을 뜻한다. 2017년 4월 미·중 정상회담에서 “한국은 중국의 일부였다”는 ‘황제’ 시진핑의 생각은 말실수가 아니라 진심일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12월 방중 때 얘기한 중국 변방의 ‘작은 나라 한국’은 현실이 되는 걸까.
우월한 경제력으로 중국에 호탕하게 객기를 부리던, 우리 역사상 전무후무한 지난 10~20년간의 호시절은 연기처럼 사라지고 있다. 중국의 일대일로 굴기(崛起)를 뻔히 보면서도 걸핏하면 ‘전쟁’ ‘척결’이니 하는 살벌한 정의만 설치는 우리 사회의 미래는 어둡다. 조공의 슬픈 기억이 자꾸 어른거렸다.
고대훈 수석논설위원
'時事論壇 > 時流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朝鮮칼럼 The Column] 결국 팩트가 승리할 것이다 (0) | 2020.01.13 |
---|---|
[터치! 코리아] "왕이 지겨워서 이 나라를 세웠다" (0) | 2020.01.12 |
[이정재의 시시각각] 한국 금융 망친 세 명의 악당 (0) | 2020.01.10 |
[양성희의 시시각각]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 (0) | 2020.01.09 |
주한미군 보유한 '킬러 드론', 北 지휘부시설 1m오차로 타격 가능/[천자 칼럼] 드론전쟁 시대/김정은, '장기 잠행' 父와 달리 거침없는 공개행보 (0) | 2020.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