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2015-1-16 일자]
보주(寶珠)란 우주에 충만한 대생명력, 혹은 그것을 가시화한 물(물결)을 응축시킨 모양을 상징한다. 우리는 주변 어디에서나 용을 접하고 보주에 대한 이야기도 듣지만 올바른 내용은 거의 없다. 일반 사람들은 재미있을지 모르지만 잘못된 내용이 많다. 최고의 사상을 풀어내는 데는 진지한 설명이 있어야 깊은 감동이 뒤따른다.
석암리 허리띠 고리 장식은 용의 본질을 가장 정확하게 웅변하는 것이다. 자세히 보면 큰 용 한 분과 아기 용 여섯 분이 있다. 존댓말을 쓰는 까닭은 용이 동양에서는 최고의 신(神)이기 때문이다. 찬란한 금빛이 2000년을 무색하게 한다. 한 분 한 분의 용은 수없이 많은 크고 작은 금 알갱이로 이뤄져 있다. 용이 보주로 이뤄져 있다는 것을 압축해 웅변한다.
그러나 사람들의 시선은 금실로 만들어진 용의 윤곽과 이곳저곳 원칙 없이 배치한 아름다운 터키석에 먼저 쏠린다. 터키석은 표면에 모두 41개가 박혀 있었는데 지금은 7개만 남았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금 알갱이에는 시선을 보내지 않는다. 국내외 학자들이 이를 어자문(魚子文), 즉 물고기 알이라 부르기 때문이다. 보주란 크건 작건 가치는 같으며 보주 안에는 우주의 바다가 압축돼 있다고 설파해 왔다. 그런 믿음으로 정성스럽게 채색 분석을 했다. 허리띠 고리의 3x2㎝ 남짓한 부분을 선택해 금 알갱이들만 그려 봤다. 그 작은 공간에서 1000개 남짓한 금 알갱이를 헤아릴 수 있었다. 그러니 이 작은 허리띠 고리 전체에 무려 1만개의 금 알갱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의 시선이 가는 윤곽선을 없애고 깨알만 한 원들만을 그려 하나하나 골똘히 칠하고 있자니 질서가 있는 가운데 생명력의 강력한 흐름이 뚜렷이 보인다. 바로 이 수많은 보주가 한데 모여 역동성을 보여주는 게 용의 본질이다. 누금세공(鏤細工)이라는 기법이 있어 이러한 작품을 만든 게 아니라 보주를 표현하기 위해 그런 기법이 개발됐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스스로 놀랐다. 그만큼 예부터 보주의 조형적 표현을 갈망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보주 안에 우주의 바다가 가득 차 있다는 것은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는가. 고려불화에서 파이프처럼 생긴 관을 통해 물이 화면 전체로 퍼져 가는 상징적인 보주 표현을 보고 얼마나 기뻐했는지 모른다. 최근 경남 거창 심우사에서 흰색의 큰 보주에서 넘실대는 바다가 나오는 광경의 불화를 보고 환호작약했다. 사람들에게 보주가 무엇인지 증명해 보일 수 있어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철규의 '한국미술명작선'] ⑧ 경로 잔치 그림 ‘경수연도(慶壽宴圖)’ (0) | 2015.01.29 |
---|---|
[정민의 世說新語] [299] 은산철벽 (銀山鐵壁) (0) | 2015.01.28 |
복숭아를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 이유는?, 10개의 태양 (0) | 2015.01.26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소회를 쓰다 (0) | 2015.01.26 |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43) 기방의 난투극 (0) | 201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