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501/31/htm_201501310171510101012.jpg)
우리나라의 각종 가계조사는 가계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70%를 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선진국들 평균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미국은 30%, 일본은 40% 수준이다. 우리의 금융자산이 적어서 그런 것이 아니다. 우리의 금융부문을 제외한 총 부채는 국민총생산 대비 270%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혹은 다소 웃도는 수준이다. 정부부채가 상대적으로 낮으니 기업·가계부채 규모는 선진국들보다 더 높다. 금융자산이 빠르게 늘어나 가계자산의 구성이 균형을 이뤄나가기를 기대해선 안 된다. 금융자산과 부채는 같이 늘어난다. 지금보다 부채가 더 늘어나면 결국 금융부문의 안전성이 위협받고 안정적 성장경로를 담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부동산의 상대가치가 더 내려가 가계자산 구성이 균형을 이뤄나가는 것이 정상적이다.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501/31/htm_201501310171910101012.jpg)
대통령부터 총리 지명자, 정부, 여당까지 연일 ‘경제 살리기’를 올해 국정 최고목표로 되뇌고 있다. 그러나 무엇이 ‘경제 살리기’인가. 어떻게 해야 경제가 살아나는 것인가. 올해 예상 성장률이 3.4%이면 이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과 비슷한 수준이다. 얼마나 성장률을 더 띄워야 경제 살리기가 되는가. 아쉽게도 여태까지 수많은 ‘경제 살리기’ 시도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소득계층 하위 90%의 실질소득은 거의 정체되어 있다. 반면 상위 10%의 소득은 경제성장률보다 훨씬 빨리 늘었다. 성장의 과실이 상위 10%에 집중된 것이다. 그러니 돈을 풀어 성장률을 올려도 대다수의 국민은 이를 체감하지 못한다.
지금 한국경제는 좀 죽어야 살아날 수 있다. 지금 한국경제에 필요한 것은 ‘재균형(rebalancing)’과 분배구조의 개선이다. 집값, 가계부채가 소득 수준에 비해 더 내려가야 하고 공공기관 부채도 마찬가지다. 그래야 상대가격이 정상화되고 거기서 투자와 소비가 살아날 수 있다. 고용의 유연성을 높이고 노동시장의 2중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 정부는 은행들에 벤처기업 대출 확대를 압박하기 전에 좀비 기업들 구조조정부터 유도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소비와 투자, 고용이 일시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 이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완화적 통화, 재정정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단기 성장률을 띄우기 위해 팽창적 통화, 재정정책을 남발하면 경제의 취약성은 더 깊어지고 결국 위기가 와 이를 조정케 된다. 미국경제가 최근에 살아나는 것도 2008년 위기 이후 유럽경제보다 더 많은 가계부채, 부동산가격 조정이 일어나 이제 이의 반등과 더불어 소비여력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나라,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세계경제는 전반적으로 지금 회복기에 있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은 지난해보다 높을 전망이다. 최근의 유가 하락은 이를 더 부추길 것이다. 지금과 같이 대외환경이 좋아질 때 우리 경제에 필요한 ‘재균형’을 이루기 위한 구조개혁을 해 나가야 한다. 움츠려야 뛰어오를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지도자의 대단한 결의와 정부의 돌파력이 필요하다. 개혁과제에 있어서 나열보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만약 이번 정부에서 노동시장 유연성과 임금체계 개선만을 이뤄내도 대단한 성과가 될 것이다.
조윤제 서강대 교수·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