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2015-6-5
61년 국교 단절에 이어 이듬해 쿠바 미사일 위기까지 미국과 쿠바 간 외교는 아슬아슬 외줄 타기를 했지만 민간 문화교류는 맥을 이어갔고,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은 그 노력의 열매였다. 이들의 앨범은 전 세계에서 800만 장이 팔려 ‘대박’이 났다. 뉴욕타임스는 카네기홀 공연을 “역사에 남을 공연”이라고 극찬했다.
미국인 역사학자 알렉시스 더든 코네티컷대 교수는 최근 통일부 황부기 차관에게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 이야기를 꺼냈다고 한다. 더든 교수는 지한파이면서 일본어로 미·일 관계를 강의하는 지일파다. 지난달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게 일본군 위안부 과거사를 직시하라고 촉구한 세계 187명의 역사학자 공동성명을 주도했다. 그런 그가 박근혜 대통령의 14~18일 방미를 앞두고 황 차관에게 꺼낸 말이다.
“일본은 생각하지 마세요. 대신 북한에 집중하면 방미의 의미가 더할 겁니다. 워싱턴도 이를 원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판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을 만들어 보라”고 조언했다고 한다. 민간 교류를 통해 북한의 문을 조금씩 열어가라는 이야기다.
더든이 “워싱턴도 이를 원하고 있다”고 한 배경은 뭘까. 그는 “지난해 쿠바와 국교 정상화 첫발을 뗀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는 북한과의 데탕트(detente·긴장 완화)가 한·일 과거사 갈등보다 매력적 ”이라고 답했다. “북한과 데탕트를 이끌 주역은 한국이 적임자”란 말도 잊지 않았다.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을 겨울잠에서 깨운 라이 쿠더의 역할을 한국 정부가 하라는 당부다.
더든 교수는 박 대통령의 방미가 ‘일본 프레임’에 갇히는 것을 우려했다. 그는 “미셸 오바마 여사의 (지난 3월) 방일을 앞두고, 일본 외무성이 미 국무부에 ‘위안부 얘기는 절대 꺼내지 말아달라’는 조건을 내걸었다”고 귀띔했다. 고민 끝에 미국은 그 조건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미국이 이런 결정을 한 행간을 한국 정부가 읽어야 한다는 의미였다. 더든은 “아베 총리의 방미에 가장 뜨거운 관심을 보인 건 미국인이 아니라 한국인이었다. 한국이 일본 총리의 미국 방문에 감 놔라 배 놔라 하는 인상을 줘 일본만 득을 봤다”고 안타까워했다.
글=전수진 정치국제부문 기자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時事論壇 > 時流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르스 공포에 '텅텅' 비어버린 서울의 주말 (0) | 2015.06.07 |
---|---|
[사설] 무능 장관 뒤에 숨은 대통령이 초래한 위기 (0) | 2015.06.06 |
[사설] 한·중 FTA는 수출 돌파구, 국회는 비준 서둘길 (0) | 2015.06.02 |
[시론] 박 대통령 訪美, 한·미 동맹 다지는 계기 삼아야 (0) | 2015.06.01 |
팬택, 눈물의 마지막 공장가동 현장 가봤더니.. (0) | 201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