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년간 삼성가(家)의 명품 컬렉션을 주도하고 박물관 건립과 성장을 이끌었던 이종선(68) 전 호암미술관 부관장이 입을 열었다. 호암미술관에서 삼성미술관 리움까지, 창업주인 이병철 회장과 이건희 회장의 수집 스타일과 컬렉션 과정에 대한 내밀한 이야기를 담은 '리 컬렉션'(김영사)이다. 26일 만난 이씨는 "삼성가의 명품들이 간직하고 있는 이야기를 이제는 꺼낼 때가 됐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서울대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조교를 하다 1976년 삼성문화재단의 호암미술관 설립을 위해 특별 채용됐다. "가난한 형편에 외국 유학은커녕 대학원 이수조차 불투명한 상황에서" 은사인 고고학계 원로 김원룡 교수가 느닷없이 연구실로 그를 불렀다. "이군, 삼성으로 가게!" 그는 "그 한마디로 20년이라는 젊음의 시간 동안 삼성 부자(父子)의 갈망을 보필하는 그림자가 됐다"고 서문에 썼다.
이씨는 호암미술관 전문연구원에서 시작해 학예연구실장을 거쳐 부관장까지 지내며 명품 수집을 도맡았다.
곁에서 지켜본 두 사람의 수집 스타일이 전혀 달랐다. "이병철 회장은 수집을 서두르지 않았고 비싸다고 판단되면 누가 뭐래도 구입하지 않았어요. 청자, 금관처럼 좋아하는 패턴이 있었죠. 그에 비해 이건희 회장은 분야를 가리지 않고 값을 따지지 않고, 좋다는 전문가의 확인만 있으면 별말 없이 구입했어요. 특급이 있으면 컬렉션 전체의 위상이 덩달아 올라간다고 믿었지요."
현재 서울의 삼성미술관 리움과 용인의 호암미술관에는 국보 37점, 보물 115점이 소장돼 있다. 개인 수집품으로 '국보·보물 152점'이란 숫자는 전무후무한 일. 우리나라 대표 사립박물관인 간송미술관과 호림박물관의 국보·보물이 합해서 70여점이다. 이씨는 "이건희 회장의 '국보 100점 수집 프로젝트' 때문"이라며 "이 회장의 지론은 명품 한 점이 다른 많은 수집품의 가치를 올려주고 체면을 세워준다는 거다. 그래서 해당 분야, 예를 들어 도자기라면 청자에서, 금속 유물이라면 금관에서 국보를 수집했다"고 했다.
작품 구입에 얽힌 뒷얘기가 흥미진진하다. 그는 이병철 회장이 가장 아끼던 유물로 가야 금관(국보 제138호), 청자진사주전자(국보 제133호), 고려불화 '아미타삼존도'(국보 제218호)를 꼽았다. 특히 가야 금관은 호암이 잠 못 이루며 아낀 첫째 보물이었다. 하루 일과를 시작하는 순간부터 소재를 파악해야 직성이 풀릴 만큼 애착이 대단했단다. "호암은 돌아가실 때까지 유물의 진짜 연대를 몰랐어요. 실제 5~6세기 금관인데 처음 유물을 소개한 사람이 회장 앞에서 수백년 앞선 2세기 금관이라고 과장을 했거든요. 회장의 믿음이 워낙 강해서 누구도 금관의 실제 연대를 알리지 못했지요. 저도 '5세기'라고 한번 꺼냈다가 눈 흘김을 당한 이후로는 다시 얘기를 꺼내지 않았어요."
고려 불화의 가치를 국내에서도 모르던 시절, 상공부 고시를 거쳐 해외에서 처음으로 정식 '수입'한 작품이 '아미타삼존도'다. 1979년 일본 나라시 '야마토분카칸'에서 고려 불화 전시회가 열린 후 매입 작전에 들어갔다. "그때 일본에서 한국에는 안 팔겠다는 얘기가 나왔어요. 호암은 불화를 일단 미국으로 빼내라고 지시했고, 미국 현지의 삼성물산 지사를 동원해 비밀리에 구입했다가 국내로 들여왔지요." 당시 우리나라엔 해외 미술품 수입에 대한 통관 절차가 없었다. 결국 '상공부 1호' 고시 작업을 거쳐 문화재를 '역수입'하는 절차를 만든 후 불화를 들여왔다는 얘기다.
조선 중기 화가 이암(李巖)의 '화조구자도'(보물 제1392호)는 하마터면 김일성 컬렉션이 될 뻔했다. "어느날 일본에서 활동하던 사업가가 찾아왔는데 조선 초 대나무 그림의 대가 이수문(李秀文)의 '묵죽화첩'이 김일성 컬렉션으로 들어갔다는 겁니다. 일본에 있는 우리 문화재들이 조총련에 의해서 북한으로 들어가고 있다는 거예요. 그때 그가 내민 게 이암 그림이었어요. 가만 놔두면 북한으로 가겠다 싶어서 이건희 회장께 보고하고 우여곡절 끝에 구입했지요."
그는 "삼성가의 수집은 각종 사회적 사건들에 얽히고설킨 오해들이 쌓여가며 순수한 개인의 열망으로만 비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병철 회장이 수집을 시작한 1950년대 말에는 어느 누구도 문화에 투자하지 않았다는 걸 인정해야 한다"며 "수집은 돈으로만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고, 그들의 갈망이 없었다면 수많은 명품을 오늘날 대중에게 선보일 수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人文,社會科學 > 時事·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섶에서] 명절 스트레스/손성진 논설실장 (0) | 2016.01.31 |
---|---|
[@뉴스룸/김유영]서른두 살의 택시기사 (0) | 2016.01.30 |
“K팝 즐겨 듣고 드라마 ‘응팔’도 다 봤어요” (0) | 2016.01.28 |
[살며 사랑하며-김세원] 아버지 (0) | 2016.01.27 |
[취재일기] 화개장터, 화합의 꽃을 피워야 (0) | 2016.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