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2016-02-04 03:00:00
손진호 어문기자
그렇지만 소낙눈과 폭설은 차이가 있다. 소낙눈은 갑자기 세차게 쏟아지다가 곧 그치기에 생활에 큰 불편을 주진 않는다. 그러나 폭설은 며칠씩 내리기도 해 지난번 제주공항 마비사태처럼 하늘길과 뱃길을 막아버리기도 한다.
눈은 모양과 내리는 모습에 따라 종류가 많다. 함박눈은 굵고 탐스러우며, 가루눈은 기온이 낮고 수증기가 적을 때 내리는 가루 모양의 눈이다. 싸라기눈은 쌀알 같은 눈이며, 진눈깨비는 비가 섞여 내리는 눈이다. 눈의 종류가 너무 많은 것 같다고? 눈과 더불어 살아가는 에스키모인들은 눈의 종류를 52가지로 나눠 부른다.
눈의 세계엔 재미난 표현도 수북하다. 아무도 밟지 않은 눈길은 ‘숫눈길’이다. 그 길을 처음 밟아본 희열을 기억하는 분도 많으리라. 송창식이 불렀던 ‘밤눈’의 노랫말처럼 ‘한밤중에 소리도 없이 내리는 눈’이 밤눈이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탄성을 터뜨리게 만드는 눈은 ‘도둑눈’ 또는 ‘도적눈’이다. ‘자국눈’은 겨우 발자국이 날 만큼 적게 내린 눈, ‘길눈’은 한 길 높이가 될 만큼 많이 쌓인 눈이다. 초겨울에 들어서 조금 내린 눈은 ‘풋눈’이다. 북한에서는 복을 가져다줄 눈이라는 뜻으로 겨울에 많이 내리는 눈을 ‘복(福)눈’이라고 한다.
‘눈꽃’은 나뭇가지에 꽃이 핀 것처럼 얹힌 눈이다. 말 그대로 설화(雪花)다. ‘서리꽃’은 유리창에 서린 김이 얼어붙어 생긴 꽃 같은 무늬이고, ‘상고대’는 서리가 나무나 풀에 내려 눈같이 된 것을 말한다.
아 참, 순백의 골목을 걸으며 남긴 건 발자욱일까, 발자국일까. 시어(詩語)로 ‘발자욱’을 쓰기도 하지만 표준어는 ‘발자국’이다. 북한에서는 둘 다 쓰고 있다. 혹시 ‘눈석임한다’는 표현을 아시는지. 이는 쌓인 눈이 속으로 녹는 것을 말한다. 그러니 눈석잇길은 질척질척해진 길이다. 이런 길에는 발자국을 남겨도 그리 즐겁지 않다.
‘어느 머언 곳의 그리운 소식이기에/이 한밤 소리 없이 흩날리느뇨….’ 김광균 시인의 설야(雪夜)를 다시 읽고 아직도 누군가가 그립거나 마음속에 등불을 켜고 싶어진다면 당신은 여전히 청춘이다.
손진호 어문기자
설야(雪夜) /김광균
어느 머언 곳의 그리운 소식이기에
이 한밤 소리 없이 흩날리느뇨
처마 끝에 호롱불 여위어 가며
서글픈 옛 자췬 양 흰 눈이 나려
하이얀 입김 절로 가슴이 메어
마음 허공에 등불을 켜고
내 홀로 밤 깊어 뜰에 나리면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
희미한 눈발
이는 어느 잃어진 추억의 조각이기에
싸늘한 추회(追悔) 이리 가쁘게 설레이느뇨
한줄기 빛도 향기도 없이
호올로 차단한 의상(衣裳)을 하고
흰 눈은 나려 나려서 쌓여
내 슬픔 그 우에 고이 서리다
'人文,社會科學 > 時事·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결혼 안할래. 하지만 축의금은 돌려줘"..비혼(非婚)선언, 신 비혼풍속도 (0) | 2016.02.07 |
---|---|
[분수대] 차라리 ‘외모고시’? (0) | 2016.02.05 |
[법칙으로 통하는 세상] 로또 법칙과 운칠기삼 (0) | 2016.02.04 |
한국 18세 소녀, ‘발레의 나라’ 불가리아를 홀리다 (0) | 2016.02.03 |
[문화 실험실]아픈 마음 보듬고 치유하는… 독서는 영혼의 약 (0) | 2016.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