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6.04.09 강인선 논설위원)
▶내연남은 프랑스에 있는 구카이라이의 700만유로, 90억원짜리 별장을 관리했다.
▶중국 권력층의 해외 재산 도피 논란엔 늘 천문학적인 액수가 등장한다.
▶덩샤오핑은 고위층 자식들에게 "권력과 돈 가운데 하나만 택하라"고 했다.
<< 게시자 추가 정보 >>
노멘클라투라([러]nomenklatura) - <정치> 사회주의 국가의 특권 계층. |
소련 시절의 특권 계급으로 속칭 공산귀족이라고 불린다. 결론부터 말하면 소련을 좀먹은 자들. 소련에만 있지는 않았고 일부를 제외하고는 동유럽 전반에 만연했다. 처음에는 '소련 공산당 소속의 고급 간부'를 뜻했으나, 브레즈네프 이후 '소련 사회에서 온갖 부정부패를 일삼는 특권계층'의 의미로 확대되었다. 일단 권력을 쥐고 있으니 돈과 명예가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된다. 이들은 브레즈네프 때부터 계획경제의 고유 속성인 부족의 경제(shortage economy)에 의해 초래된 사치품이나 비생필품을 충당하기 위해서 생긴 제2의 경제(second economy)를 독단적으로 운영했으며 (물론 소련 헌법상으로는 불법이였다) 이를 통해서도 막대한 이득을 얻게 되었다. 소련 후기에 접어들면 사회를 좀먹는 자들로 전락하게 된다. 마지막 집권자였던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개혁·개방정책을 펼치면서 이들 노멘클라투라 집단을 제거하여 사회의 건전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전력을 다했으나... 소련은 망했다. 이들이 끼친 최대의 폐혜는 공산주의의 이상 자체를 훼손시켰다는 것이다. 사실 스탈린주의로 인해서 이미 이상은 손상되었지만 그나마 유지하고 있던 경제적 평등이라는 의미 자체가 무너졌던 것이다. 물론 소련이나 동유럽의 빈부격차는 서방세계에 비해서 상당히 적은 편이였지만 체제 자체가 평등을 주장하는 공산주의에서는 현실의 빈부격차에(그것이 서방세계보다 더 평등했어도) 이상과의 괴리감을 느끼고 종래에는 체제 자체를 버리게 된 것이다. 소련 붕괴 이후 대부분의 노멘클라투라들은 자신들의 자본과 정보력을 이용해서 옐친의 급진개혁에 편승했다. 모순되게도 그들은 자본주의자로 변신하여 올리가르히(과두재벌)가 되었다. 이 때문에 아직도 그들에 의한 폐해가 심각하다. 괜히 극과 극은 통한다는 것이 아니다. 소련은 아니지만 중국에도 노멘클라투라가 있으며, 사실상 공산주의를 포기한 나라이긴 하지만 북한의 고위층 및 간부들도 넓게는 노멘클라투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북한의 경우는 사실상 김정일, 김정은 이후부터는 사실상 극좌가 아니라서 공산주의식 귀족보다는 사회주의식 체제 흉내내는 광신적 민족주의 독재의 귀족들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알맞을 듯하다. 중국 역시 사실상 자본귀족에 가까운 상태이다 |
'時事論壇 > 橫設竪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굴기의 꽃산 꽃글]모데미풀 (0) | 2016.04.13 |
---|---|
성공회 수장 "혼외자였다" 고백.."생부는 처칠 개인비서" (0) | 2016.04.11 |
<기자수첩> '야스쿠니 사쿠라'에 취한 일본인..섬뜩한 역사는 잊었나 (0) | 2016.04.08 |
[횡설수설/허문명]트럼프 망언에 침묵하는 한국 (0) | 2016.04.07 |
[남정욱의 영화 & 역사] '팍스 로마나' 무너뜨린 공짜 시민권 (0) | 2016.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