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橫設竪設

[씨줄날줄] 기업가 정신/강동형 논설위원

바람아님 2016. 6. 16. 00:05
서울신문 2016.06.15. 03:38

기업가(Entrepreneur)라는 말은 어떤 일에 착수하다(undertake)와 시작하다(commence)의 합성어인 프랑스어(entreprendre)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따라서 ‘기업가 정신’을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이 가지는 마음가짐’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가와 기업가 정신에 대한 정의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기업가라는 말을 가장 먼저 사용한 18세기 프랑스 경제학자 캉티옹은 기업가를 ‘위험 부담을 지고 자기 사업을 하는 사람’이라고 정의, 기업가 정신을 ‘도전정신’에 방점을 뒀다. 이후 슘페터는 기업가를 ‘창조적 파괴와 혁신 활동을 하는 사람’으로, 기업가 정신을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위험에도 개인적·사회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실천적인 역량’이라고 정의했다. 피터 드러커는 기업가 정신의 개념을 중소기업, 공공기관, 비영리단체 등으로 확대했다. 드러커는 2002년 펴낸 ‘넥스트 소사이어티’에서 우리나라를 기업가 정신이 가장 높은 나라로 꼽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기업가 정신은 도전정신, 창조성과 혁신성, 자기 주도 리더십, 가치지향 등 4가지 요인으로 평가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가 정신이 가장 돋보이는 나라가 이스라엘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이스라엘에는 삼성을 비롯해 페이스북, 애플, 구글 등 500여개 글로벌 기업의 연구개발(R&D)센터가 자리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벤처 자금이 가장 많이 투자되는 나라이기도 하다. 이스라엘이 우리나라와 다른 점은 활발한 토론 문화를 꼽을 수 있다. 회의 석상에서 말단 직원이 거리낌 없이 사장의 의견에 반대하고, 자신의 주장을 펴는 광경을 수시로 목격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문화는 하루아침에 형성된 건 아니다. 종교적 신념에서 비롯된 도전 정신과 어렸을 때부터 몸에 밴 토론 문화의 오랜 전통이 창조와 혁신이라는 기업가 정신의 원천이 되고 있다고 한다.


최고였던 우리나라 기업가 정신의 현주소는 어떤가. 지난해 미국의 세계기업가정신발전기구가 130개국을 조사한 글로벌 기업가정신지수에서 우리나라는 28위였다. 경제 규모에 비해서는 낮다. 최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삼성전자, 포스코, 현대자동차, LG전자, SKT를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도전정신은 7점 만점에 4.45점, 혁신성과 창조성은 4.43점, 리더십은 3.53점, 가치지향은 4.57점, 창업의지는 3.91점으로 나타났다. 그야말로 ‘보통’이다. 보고서는 기업가 정신을 높이는 방안으로 실패를 용인하는 분위기 조성, 수평적·개방적 조직문화, 직원들에 대한 보상 강화, 사내 벤처 등 기업 벤처링 활성화를 주문하고 있다. 기업가 정신은 창업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기업뿐만 아니라 모든 기업들이 새겨들어야 한다.


강동형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