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라면의 속설'에 대한 10가지 오해와 진실

바람아님 2016. 6. 17. 05:39
[중앙일보] 입력 2016.06.16 11:58

라면은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없이 즐기는 간편식품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라면 사랑은 유별나다. 한 사람당 연간 라면 소비량이 74.1개(2014년 기준)로 세계 1위다. 닷새에 한 개꼴로 라면을 먹는 셈이다. 베트남(55개), 인도네시아(53개), 태국, 말레이시아(45개)와 라면 종주국인 일본(43개) 보다 훨씬 많다.

그런데 우리는 라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시중에는 라면에 관한 속설이 많다. "라면은 양은냄비에 끓여야 맛있다", "방부제와 MSG가 많이 들어가 몸에 해롭다" 등 라면에 얽힌 '설'이 많다. 진위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평택에 있는 ㈜오뚜기라면 연구소를 찾았다. '라면의 속설' 에 대한 연구소 측의 설명이다.
 
기사 이미지

(주)오뚜기라면 연구소 직원이 수프를 만들기 위해 고추, 파, 소시지, 고기 등 말린 식재료를 고르고 있다


1. 라면은 방부제와 MSG가 많이 들어가 몸에 해롭다?
아니다. 라면에는 방부제가 들어가지 않는다. 음식을 변질시키는 미생물이 번식하려면 수분이 12%를 넘어야 한다. 라면의 면은 수분이 6%, 수프는 6-8%, 건더기 수프도 6-8%이기 때문에 방부제가 들어가지 않는다. 또 수프는 멸치, 다시다 등 천연식품에서 추출한 재료로 만들기 때문에 MSG는 들어가지 않는다.

2. 라면을 먹고 자면 얼굴이 붓는다?
부분적으로 맞다. 그러나 라면 뿐 아니라 나트륨 함량이 높은 짠 음식을 먹고 자면 사람에 따라 얼굴이 붓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나트륨 때문에 모세혈관과 조직세포 사이에 삼투압 현상이 일어나고 조직세포로 수분이 유입돼 나타나는 현상이다. 우유나 야채 등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함께 먹으면 얼굴이 붓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3. 삼시세끼 라면만 먹으면 영양소가 부족해 살 수가 없다?
그렇지 않다. 라면 한 개의 열량이 약 500kcal다. 라면만 먹어도 살 수는 있다. 다만 균형있게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
 
기사 이미지

(주)오뚜기라면 연구소 직원이 뚝배기, 양은냄비, 스테인리스 냄비에 라면을 끓이며 온도를 재고 있다.


4. 라면은 양은 냄비에 끓여야 맛있다?
그렇다. 라면은 짧은 시간에 조리해야 면이 더 쫄깃쫄깃하고 불지 않는다. 양은냄비는 열 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빨리 끓는다.

5. 라면 먼저? 수프 먼저?
수프를 먼저 넣으면 염도가 높아져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끓는다. 면이 쫄깃쫄깃해 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수프의 양념과 향신료의 향이 빨리 증발하는 단점이 있다. 취향에 따라 다르지만 조리법 그대로 끓이는 것이 가장 맛있다.

6. 라면은 찬밥을 말아먹는 것이 더 맛있다?
맞다. 삼투압의 원리로 찬밥은 잃어버린 수분을 찾으려고 국물을 흡수한다. 국물의 양념이 밥알 속으로 들어가 더 맛있다.
 
기사 이미지

사골가루를 이용해 라면 라면수프를 제조하는 장면.


7. 불경기에는 매운 라면이 더 잘 팔린다?
부분적으로 맞다. 업계에서는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단적이 예가 짬뽕라면의 폭발적인 판매다. 그러나 단순히 맵다고 해서 잘 팔리는 것은 아니다. 차별화된 매운맛이 중요하다.

8.라면은 해장에 좋다?
조사된 연구결과는 없다. 단지 매콤하고 따듯한 국물이 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느낌을 준다. 숙취해소에 좋은 콩나물이나 양배추를 넣어 먹으면 효과가 있다.
 
기사 이미지

라면 연구소 직원이 고추, 소시지 등 말린 식재료 `건더기수프` 를 제조하고 있다. 주기중 기자


9. 라면 한 개를 먹으면 1일 나트륨 섭취 권장량을 초과한다?
아니다. 나트륨 1일 섭취 권장량은 2,000mg이다. 라면 한 개에는 약 1,500mg의 나트륨이 들어있다. 김치찌개 1,962mg, 된장찌개 2,021mg, 갈비탕 1,717mg, 짜장면 2,432mg비하면 낮다.

10. 컵라면 등 라면용기에 환경호르몬이 나온다?
근거 없는 이야기다. 라면용기의 환경호르몬 검출은 업계에서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어떤 조사결과도 나온 적이 없다.

글·사진 주기중 기자·clickj@joongang.co.kr

*자세한 기사는 17일 발행되는 월간중앙 7월호에서 보실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