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 속 동물에서 용이 빠질 수 없다. 박물관 벽면 한쪽에 용 형상을 붙여놓았다. 용 부위 부위에 작은 패널을 만들어 그것을 열어보게 했다. 중국 의학서 『본초강목』에 나오는 용 모양에서 힌트를 얻었다. 옛 사람들은 용의 눈은 토끼를, 발톱은 매를, 배는 원숭이를, 머리는 낙타를, 뿔은 사슴을 닮은 것으로 상상했다. 천진기 민속박물관 관장은 “동양의 용은 여러 동물의 장점을 모아놓은 상서로운 존재”라고 설명했다.
눈에 띄는 대목은 용의 코가 돼지 코와 비슷하다는 점. 용은 돼지를 못마땅해했다. 온몸이 쭉 빠진 용모에 못난이 돼지 코라니…. 예부터 민간에서도 용띠와 돼지띠는 궁합이 맞지 않는 것으로 봤다. ‘개와 원숭이 사이’쯤 됐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벌어지는 요즘 여야 간 싸움이 용과 돼지의 다툼과 뭐가 다를까. 최순실 게이트, 송민순 회고록 등 자기 허물은 감추고 상대방 흠집만 물어대는 구태, 분명 용이 되려는 자들의 도량이 아니다.
옛사람들은 통이 컸다. 시쳇말로 ‘구라’가 셌다. 이번에 고려 왕조가 체제 정통성을 확립하려고 꾸며낸 작제건 설화도 알게 됐다. 왕건의 할아버지라는 작제건은 서해 용왕을 괴롭히는 여우를 퇴치하고, 그 보답으로 용녀(龍女)를 배필로 얻었다고 한다. 여우는 신라 말기 부패한 귀족 세력쯤 되겠다. 거짓말을 해도 이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신화가 사라진 시대라지만 민초의 상상력을 북돋고, 민생의 아픔을 헤아리는 위정자가 여전히 그립다.
아이들 놀라고 만든 자리에 구질구질 정치를 또 꺼내 들어 겸연쩍다. 그리스·로마 서양신화에 경도된 요즘 어린이들에게 우리의 얘기를 알려주자고 마련된 전시다. 역시 중심은 단군신화다. 곰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마늘과 쑥을 받아먹으면 인간으로 변하는 게임도 있다. 피자나 사탕을 먹으면 곰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은근히 중독성이 있다. 유치원 꼬마들의 까르르 웃음소리도 들려온다. 아이들의 환한 얼굴을 지켜주는 것, 그게 이 시대의 신화다.
박정호 논설위원
'人文,社會科學 > 時事·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11위 국가가 '헬조선'..성장 아닌 행복 정책 펼 때" (0) | 2016.10.21 |
---|---|
"대학 甲질 못참겠다" 뭉치는 대학원생 (0) | 2016.10.20 |
[콘작의 한국 블로그]韓과 獨, 결혼 부담 차이 크지만 이혼율은 비슷 (0) | 2016.10.18 |
[팀 알퍼의 한국 일기] 비를 향한 한국인과 영국인의 은밀한 사랑 (0) | 2016.10.18 |
[서소문 포럼] 사람을 만나야 한다 (0) | 2016.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