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사설 2017.03.02)
한·미 연합 연례 '독수리 훈련'이 1일 시작됐다.
한민구 국방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이날 훈련 시작과 함께 전화 통화에서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의
차질 없는 배치를 재확인했다.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허버트 맥매스터 미 국가안보보좌관도 전화 통화에서
같은 뜻을 밝혔다. 한·미 최고위 안보 당국자가 모두 나서 북핵·미사일 방어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다.
지금 양국 동맹의 가치가 새삼 부각되는 것은 사드에 반대한다는 중국의 안하무인 격인 대한(對韓) 공세 때문이다.
롯데 이사회가 사드 부지 제공을 결정하자 중국공산당이 저급한 공격이 필요할 때 동원하는 말단 선전기관들이 '단교' 등
무절제한 표현을 쓰기 시작했다. 앞으로 도를 더할 것이다. 중국의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는 롯데마트 판매망을 폐쇄했다.
롯데 불매운동도 본격화될 것이다. 중국은 과거 일본과의 센카쿠열도 영유권 분쟁 때도 일본 상품 불매와 관광 금지,
수출입 제한 등 온갖 방법으로 보복했다. 중국 내 일본 공장 습격과 일본인 폭행도 일어났다.
사드가 중국의 반일(反日) 감정과는 다른 문제라 해도 동원할 수법은 비슷할 것으로 봐야 한다.
정부는 중국을 설득하는 노력을 포기해선 안 된다.
하지만 국민의 생존을 위한 안보 정책, 특히 방어 무기 도입까지 외국의 간섭과 압박으로 변경할 수는 없다는 점도
분명히 해야 한다. 중국의 일본에 대한 거친 보복도 몇 년간 이어지다 사라졌다.
지금 일본 관광지는 중국인이 점령하다시피 하고 있다. 일본이 단합해 어떤 경제적 손실이 있어도 영유권을 양보할 수 없다는
의지를 보였기 때문이다. 장기간 경제 보복이 결국 중국의 손실을 키운 것도 공세를 약화시켰다.
지금 우리가 중국과 관계를 잘못 맺으면 그들의 시대착오적 한반도관(觀)이 우리에게 두고두고 화근이 될 것이다.
'時事論壇 > 핫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론&정치] 어떤 대한민국이 될 것인가 (0) | 2017.03.07 |
---|---|
[경제포커스] 중국의 사드 위협 대응법 (0) | 2017.03.02 |
[문갑식의 세상읽기] 태극기의 恨 풀어줄 다섯 가지 조건 (0) | 2017.02.26 |
北 김정은 이복형 김정남, 말레이시아서 피살(3보) (0) | 2017.02.14 |
[기고] 북한의 변화를 감당할 준비는 돼 있는가 (0) | 201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