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책·BOOK

[김대식의 북스토리]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무엇을 기다리는가?

바람아님 2017. 3. 24. 10:13

(조선일보 2016.06.12 김대식 KAIST 전기 및 전자과 교수)


[김대식의 북스토리]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무엇을 기다리는가?

130년 된 자동차 산업을 본질적으로 혁신하겠다는 테슬라 자동차, 화성 식민지를 만들기 위해 

우주선을 개발 중인 스페이스 X, 그리고 웬만한 항공기보다 빠른 기차를 개발하겠다는 하이퍼루프. 

이 세 회사에는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바로 모두 이 회사들의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가 구상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다. 


그런 그가 얼마전 트위터에 재미있는 내용을 하나 올렸다. 

우주선에대한 이야기도, 인공지능 이야기도 아니었다. 드디어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에 나오는 부조리적 휴머를 이해하기 시작했다는 내용이다. 


인생에 새로운 목표가 생기면 마치 배고픈 맹수같이 성공할 때까지 절대 놓지 않는다는 머스크. 

왜 그가 인생엔 결국 목표도, 의미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1950년대식 실존주의 책에 열광하는 것일까?


한 그루의 나무 옆에서 기다리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곤. 그들은 무엇을 기다리는가? 아니, 왜 무엇을 기다리는가? 

무엇을 기다리는지 자신 스스로도 모르기에, 기다림 그 자체가 이들의 존재 이유이자 정당화가 된다. 


아일랜드 출신이자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사뮈엘 베케트의 대작 《고도를 기다리며》의 내용이다. 

베케트는 젊은 시절, 역시 아일랜드 출신 작가인 제임스 조이스의 비서로 일하기도 했다. 

조이스의 마지막 작품인 《피니건의 경야》를 옆에서 지켜본 베케트. 


책을 거의 완성한 조이스는 책을 마무리할 멋진 마지막 단어를 찾고 있었다. 

20세기 최고의 언어 마법사로 불리던 제임스 조이스. 그의 마지막 작품의 마지막 단어. 베케트는 기다린다. 

마치 에스트라곤과 블라디미르가 의미 없는 인생에 드디어 의미와 행복과 깨달음을 가져다 줄지도 모르는 

‘고도’를 기다리듯, 베케트는 조이스의 마지막 단어를 기다렸는지 도 모른다. 


하지만 조이스가 찾은 단어는 뜻밖이었다. 

영어에서 가장 단순하고 보편적인 ‘the’. 《피니건의 경야》는 ‘the’라는 무의미한 단어로 끝난다. 

하지만 그 무의미한 단어는 책을 다시 처음부터 읽을 수 있게 해준다. 


[김대식의 북스토리]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무엇을 기다리는가?

같은 책을 다시 한번 읽지만, 이미 한번 읽은 책이기에, 책을 읽는 자는 더 이상 같은 사람이 아니다. 

강도, 사람도 항상 변하기에, 같은 강에 두 번 들어갈 수 없다던 헤라클레이토스의 주장같이, 

《피니건의 경야》는 영원히 반복해서 읽을 수 있으면서도, 똑같이 두 번은 읽을 수 없는 책이다.


결국 우리 모두가 기다리는 우리만의 ‘고도’ 역시 이런 무한의 반복을 가능케 하는 

무의미한 기다림일 수 있다. 

하지만, 기다림이 무의미하다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기다리고 있는 우리. 

이것이야말로 인간이라는 존재의 영원한 조건이자 인류의 위대함인지도 모른다. 


고도를 기다리며/ 사뮈엘 베케트/ 오증자/ 민음사/ 2000/ 175 p 

808-ㅅ374ㅁ-43=2/ [정독]어문학족보실(2동1층)/ [강서]3층 어문학실





[김대식의 북스토리]


[김대식의 북스토리]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신이 되어 버린 인간의 새 종교는 '데이터교'(2016. 9. 19)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9/12/2016091201052.html


[김대식의 북스토리] 움베르토 에코 《장미의 이름》-장미의 '이름'은 무엇인가(2016. 9. 4)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29/2016082901158.html


[김대식의 북스토리] 보르헤스 <원형의 폐허들>-인생의 그리움과 사랑, 나 자신조차 시뮬레이션은 아닐까(2016. 8. 21)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11/2016081101925.html


[김대식의 북스토리] 《로지코믹스》-러셀의 수학탐구 과정을 논리와 만화로 유쾌하게 풀어내다(2016. 8. 7)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03/2016080301317.html


[김대식의 북스토리] 시머스 히니 번역 《Beowulf》-베오울프는 누구인가(2016. 7. 10)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7/07/2016070701013.html


[김대식의 북스토리] 괴츠맨 《Money changes everything》-돈이 없다면 세상이 행복할까?(2016. 6. 26)

[김대식의 북스토리]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무엇을 기다리는가?(2016. 6. 12)


[김대식의 북스토리] 칼비노 《어느 겨울밤 한 여행자가》 - 책이라는 우주(2016. 5. 29)

[김대식의 북스토리] 《알렉산더 그늘 아래의 다리우스》-누구를 존경해야 하는가(2016. 5. 15)

[김대식의 북스토리] 랭보 《지옥에서 보낸 한 철》-랭보는 행복했을까?(2016. 5. 1)

[김대식의 북스토리] 아리스토텔레스의 잃어버린 책 '시학2'...웃음의 미학(2016. 3. 27)

[김대식의 북스토리] 보스트럼의 초지능(2016. 3. 20)


[김대식의 북스토리] 나의 집은 어디인가(조선일보 2016.03.06)

[김대식의 북스토리] 움베르토 에코 기획 <중세>. 문명과 미개의 차이(조선일보 2016.02.21)

[김대식의 북스토리] 미래를 생각할 수 있는 나라2(조선일보 2016.02.07)

[김대식의 북스토리] 제국이란 무엇인가(조선일보 2016.01.31)

[김대식의 북스토리] 과거는 잊혀져야 하는가(조선일보 2016.01.17)


[김대식의 북스토리] 위대한 질문들(조선일보 2016.01.03)

[김대식의 북스토리]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회상록(조선일보 2015.12.13)

[김대식의 북스토리] 피네간의 경야(조선일보 2015.11.29)

[김대식의 북스토리] 미메시스(조선일보 2015.11.08)

[김대식의 북스토리] 거장과 마르가리타(조선일보 2015.10.31)


[김대식의 북스토리] 지옥은 다름아닌 타인들이다(조선일보 2015.10.17)

[김대식의 북스토리]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조선일보 2015.10.03)

[김대식의 북스토리] 해를 주지 말아라(조선일보 2015.09.19)

[김대식의 북스토리]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대답(조선일보 2015.09.05)

[김대식의 북스토리] 아무도 읽을 수 없는 책 '코덱스'(조선일보 2015.08.23)


[김대식의 북스토리] 프로코피우스의 '비밀역사'(조선일보 2015.08.08)

[김대식의 북스토리] 전쟁은 왜 필요한가(조선일보 2015.07.25)

[김대식의 북스토리] 정보는 왜 증가하는가(조선일보 2015.07.11)

[김대식의 북스토리] 왜 매일마다 저녁일까(조선비즈 201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