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學,藝術/아트칼럼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63] "자동차가 내는 소음은 현대 문명이 준 선물"

바람아님 2013. 9. 29. 10:41

(출처-조선일보 2012.05.15  우정아 포스텍 교수·서양미술사)


한밤에 정전이 되면, 주위가 조용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큰 착각이었음을 알게 된다. 냉장고, 컴퓨터, 조명기구 등 쉴 새 없이 백색 소음을 발산하는 가전제품이 모두 꺼진 후에 찾아오는 적막은 너무나 낯설어 오히려 귀가 멍할 지경이다. 20세기 초, 이탈리아의 전위적 미술 운동인 미래주의(Futurism)에 참여했던 화가이자 작곡가 루이기 루솔로(Luigi Russolo·1883~1947)는 이러한 '소음(騷音)'이야말로 현대적인 삶의 조건이며 산업혁명이 인류에게 준 선물이라고 했다. 기계문명 덕분에 현대인은 과거에 인류가 단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복잡한 기계음을 감상할 수 있는 청력을 갖게 됐다는 것이다.

루솔로 ‘자동차의 역동성’ - 1912~1913년, 

캔버스에 유채, 104×140cm, 파리 퐁피두센터 소장.


루솔로는 이 작품 '자동차의 역동성'에서 질주하는 자동차의 속도와 굉음을 시각화하고자 했다. 기계문명이 가져다줄 이상사회를 꿈꾸던 미래주의자에게 달리는 자동차는 그 어떤 예술 작품보다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검은 유선형 물체인 자동차가 쏜살같이 앞으로 나아가는 순간, 이를 둘러싼 공기가 날카롭게 갈라지며 파도치듯 퍼져 나가 소음을 일으킨다. 자동차의 엔진이 뿜어내는 열기는 불꽃처럼 뜨거운 에너지가 되어 주위를 새빨갛게 달군다.

루솔로는 이 그림을 완성하던 1913년에 '소음의 예술'이라는 선언문을 발표하고, 온갖 소음을 일으키는 '악기'를 개발하여 연주회를 열기도 했다. 물론 루솔로가 예상했던 대로 객석의 반응은 분노 일색이었다. 그러나 그의 주장도 일리가 있다. 눈은 쉽게 감을 수 있어도, 귀를 닫을 수는 없지 않은가? 어차피 온갖 기계와 전자제품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우리가 소음을 피해서 살 수는 없는 법인데, 벗어나지 못한다면 괴로워하기보다는 즐기는 게 낫다는 말이다. 


<각주 : 미래주의>

20세기 초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일어난 예술의 혁신운동으로서, 시인 마리넷티(1878∼1944)가 주창했으며, 1909년 파리의 ≪피가로≫지(紙)에 <미래파 선언>을 발표, U. 봇치오니, C. 카라, L. 룻솔로, G. 발라, G. 세베리니 등이 그에 동조했다. 그들의 이념은 전통적인 미에 대한 부정과, 새로운 시대에 부응한 소재와 테마를 확립하는 것이었으며, 격렬한 역동(力動)과 색채감 등이 두드러졌다. 음악에서의 미래주의는 룻솔로의 소음(騷音)예술이 대표적인데, 그는 많은 소음악기를 만들어서 그것에 의한 연주회를 개최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그 방법론은 현대의 뮈지크 콩크레트* 등에 계승되고 있다. 미래주의는 1914∼15년에 거의 소멸되고, 형이상학적 회화(繪畵), 네오레알리즘, 신고전주의로 분산 발전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미래주의 [futurism] (파퓰러음악용어사전, 클래식음악용어사전, 2002.1.28, 삼호뮤직)


(Luigi Russolo _ Dynamism of a C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