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아킨 소로야의 ‘여자 어부’(1911, 캔버스에 유채, 개인 소장)
해변에 자그마한 어시장이 섰다. 여자 어부가 작은 배를 타고 나가 잡은 고기들을 바구니에 담아 팔고 있다. 당연히 어종이
한 가지일 리 없다. 따로따로 팔았다간 인기 어종만 팔리고 그렇지 않은 잡고기는 버려야할지도 모른다. 묘책은 인기 어종과
잡어를 한데 섞어 바구니 단위로 파는 것이다.
그런데 이게 사는 사람을 여간 곤혹스럽게 만드는 게 아니다. 우리라면 섞어찌개를 끓이면 되지만 서양사람들에겐 이런 조리
방법이 낯설다. 그래서일까. 바구니를 들여다보는 아낙들의 얼굴에 고민의 그늘이 역력하다.
스페인 화가 호아킨 소로야(1863~1923)가 그린 ‘여자 어부’는 화가가 고향인 발렌시아 앞바다의 일상적 풍경을 포착한 것이다.
그는 프랑스 인상주의의 세례를 받았지만 그것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인상주의를 창조했다. 그 역시 전통과 현대를 하나의
바구니에 담았다는 점에서 고기 파는 아낙과 다를 바 없어 보인다.
'文學,藝術 >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이 있는 아침] 테크놀로지 사회의 미소 (0) | 2013.10.23 |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82] '평범한 사람들의 벽지', 사치품이 되다 (0) | 2013.10.21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113] 귀족 도련님을 키운 중산층 가정교사와 유모들 (0) | 2013.10.19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81] "잠시 후 앵무새는 살아난다… 기적은 神 아닌 과학의 것" (0) | 2013.10.18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80] "범죄자를 반드시 처벌해야 근대국가" (0) | 201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