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해상 원자력발전소 아카데믹 로모노소프(Akademik Lomonosov)(그린피스 누리집)© 뉴스1 |
중국이 한반도와 가까운 산둥성 부근에 부유식 해상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한다고 발표하면서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않다. 해상 원전이 육상 원전보다 지진이나 해일에 강하고 용량도 작아 사고시 육상 원전들보다 안전하다는 의견과 과거 핵잠수함 사고 등에 비춰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교차되고 있다.
중국핵동력연구설계원이 산둥성 앞바다에 건설하는 해상 원전은 2021년부터 가동된다. 중국은 이런 해상 원전을 2030년까지 남중국해 등에 20기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러시아의 해상 원전 '아카데믹 로모노소프' 이후 세계 두번째 해상 원전 사례가 될 전망이다.
부유식 해상 원자력발전소는 발전설비를 바지선에 탑재해 바다 위 특정한 장소의 방파제에 계류시킨 후 원자로를 가동하는 것이다. 바닷물을 직접 냉각수로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해상 원전은 육상 원전처럼 부지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 다수 공간을 차지 않고 지진이나 해일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또 육상 원전보다 해상 원전이 비교적 발전 용량도 작기 때문에 육상 원전보다 사고시 피해가 크지 않다.
김지호 한국원자력연구원 해양원전부 부장은 "육상 원전의 가장 큰 안전문제로 꼽히는 지진이나 해일 등에서 안전성이 보장되며 가장 큰 장점은 이동성이 좋아 어디서나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이라면서 "육상 원전들도 대부분 냉각수가 필요해 해안 인접해 있는데 육상 원전이나 해상 원전이나 사고시 영향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원자력 안전성을 누구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해상 원전은 설립하기전 충분한 기술검토와 안전성 검증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특히 중국의 해상 원전의 경우 우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더 우려가 크다. 그린피스 관계자는 "1985년 러시아에서 핵잠수함 원자로에 핵연료를 싣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고로 10명 사망, 29명이 부상을 입었다"면서 "해상 원전은 원자로들은 자연을 파괴하기 쉬운 명백한 위협"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해상 원전은 중국 영해상에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설립시 또는 사고시 우리나라의 정부부처 등에서 간섭할 수 있는 권한은 없다. 해상 원전은 원자로이기도 하면서 선박이기도 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국제해사기구'(IMO)의 관리와 규제를 받게 된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해상원전을 우리나라와 가까운 지역에 우선적으로 개발하게 된 것은 실질적인 원전 필요성이나 기술적 측면을 떠나 외교적인 뜻이 숨어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박종운 동국대 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중국이 해상 원전을 개발하기로 한 근거는 인공섬을 만들어 이곳에 전력을 보급한다는 것으로 실질적인 목적이 있을지는 몰라도 상징적인 목적도 있다"면서 "중국의 해양굴기를 과시하는 것은 물론 군사력을 증강시킬 명분을 만들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somang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