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19.04.23 임민혁 논설위원)
'농담 아님(No joke).' 로이터통신은 2015년 과테말라 대선에서 정치 경험이 전무(全無)한 코미디언 모랄레스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이 제목을 달았다. 선거 과정에서 정치 명문가 출신인 상대 후보가 "국정(國政)이 코미디냐"고 공격하자,
모랄레스는 "나는 사람들을 웃겨왔고 대통령이 된다면 국민을 울게 하진 않을 것"이라고 받아쳤다.
그는 배 넘는 득표로 압승했다.
▶코미디언이 정치권력을 잡았다는 소식은 세계 곳곳에서 심심찮게 들려온다.
지난해 슬로베니아에선 '성대모사 정치 풍자쇼'로 인기를 끈 인물이 최연소 총리로 당선됐다.
아르메니아 수도 예레반, 아이슬란드 수도 레이캬비크도 코미디언을 시장으로 뽑았다.
일본에서는 보수 성향으로 알려진 미야자키현에서 행정 경험도 없고 정당과도 무관한 코미디 배우가 지사로 뽑혀
화제가 된 적이 있다. 한 외교전문지는 '머지않아 코미디언이 세상을 지배하리라' 하고 풍자 글을 실었다.
▶엊그제 우크라이나에서 코미디언 출신 대통령이 탄생했다.
마흔한 살 정치 신인 젤렌스키는 TV 코미디 시리즈로 큰 인기를 끈 인물이다.
그는 평범한 교사가 정치에 뛰어들어 대통령이 되는 드라마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국민 코미디언' 반열에 올랐다.
그러더니 드라마 제목에서 이름을 딴 당을 만들고 작년 말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이어 현직 대통령, 그리고 '오렌지 혁명'을 이끌었던 전 총리 같은 거물들을 제치고 기어코 드라마를 현실로 만들었다.
▶이번 우크라이나 대선은 여러모로 코미디적 요소가 많았다.
"대통령의 부인이 되고 싶나요" 같은 구호를 걸고 공개 구혼에 나선 후보도 있었고,
한 군소 후보는 유력 후보와 똑같은 성(姓)으로 후보 등록을 해 유권자를 헷갈리게 했다.
붕괴 직전의 경제, 만연한 부패, 무력 분쟁으로 삶과 현실에 지친 국민이 기성 정치인에게 무조건 등을 돌리면서
나온 현상이라고 한다.
▶정치 엘리트층에 대한 반감과 포퓰리즘이 정치와 코미디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잠시 국회의원으로 외도했던 '코미디 황제' 이주일이 여의도를 떠나면서 말했다.
"국회에는 나보다 더 코미디를 잘하는 사람이 많다."
대중의 호응을 이끌어내는 코미디언이 정치도 잘할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정치와 국정은 코미디보다 훨씬 어려운 문제다.
중국 사람들은 "이래서 대중 선거는 안 된다"고 한다.
젤렌스키도 그 앞에 놓인 현실은 결코 코믹하지 않다는 사실을 곧 깨닫게 될 것이다.
'時事論壇 > 時流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와 시각>文정부의 '희망고문' (0) | 2019.04.27 |
---|---|
[배연국칼럼] 그대는 나라를 사랑하는가 (0) | 2019.04.26 |
[한마당-배병우] 한국 빠진 동북아 '頂上 외교전'/<사설>美·日은 철통동맹 확대, 文정부는 나홀로 '판문점 쇼'/[한반도포커스-신범철] 北의 적반하장 (0) | 2019.04.23 |
4차 산업혁명은 있는가? (0) | 2019.04.22 |
[사설] 민주노총의 떼쓰기에 밀려 무너지는 법과 원칙 (0) | 2019.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