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21. 06. 25. 00:01
작심하고 풀어보는 한일악연 500년사⑤
작심하고 풀어보는 한일악연 500년사⑤ 먹고 버린 소뼈가 성균관에 산을 이룬 이유에 대하여
◇소 잡기를 일삼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살우위사(殺牛爲事?소 잡기를 일삼다)’라는 문장이 두 번 나온다. 한번은 성종 때 소 잡기를 업으로 하는 백정을 설명할 때, 한번은 중종 때다. 백정은 소 잡는 게 일이니 당연한 표현이다. 하지만 중종 때 소 잡기 일삼은 이야기는 조금 충격적이다.
‘사학四學 관원들이 교회하는 데 뜻이 없어 유생이 모이지 않아 학사가 늘 비기 때문에, 노비들이 소 잡기를 일삼아[殺牛爲事?살우위사] 뼈가 구릉처럼 쌓였나이다.
https://news.v.daum.net/v/20210625000120933
[박종인의 땅의 雜事] 6.먹고 버린 소뼈가 성균관에 산을 이룬 이유에 대하여
[박종인의 땅의 雜事] 6.먹고 버린 소뼈가 성균관에 산을 이룬 이유에 대하여
조선은 세계 최초로 측우기를 발명해 실용적으로 사용한 나라였고, 역시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개발해 서적을 대량으로 인쇄한 국가였다. 그 조선에서 자기가 만든 과학기술 사용법을 다 까
news.v.daum.net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2] 여름날의 짚신 삼기와 물레질 (0) | 2021.08.07 |
---|---|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1] 젊은 선비에게 잡힌 팔목, 그래도 싫지 않은 듯.. (0) | 2021.07.31 |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0] 시 쓰기로 모인 선비들의 雅會 (0) | 2021.07.24 |
[박종인의 땅의 雜事] 6.먹고 버린 소뼈가 성균관에 산을 이룬 이유에 대하여 (0) | 2021.07.12 |
[박종인의 땅의 雜事] 5.아무도 몰랐던 경복궁 돌덩어리들의 정체 (0) | 2021.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