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2024. 2. 9. 00:33
이괄의 난 진압한 이시발의 사랑
동갑 정실 민씨와는 애정 부족
첩 이씨는 재색 겸비한 이상형
이씨 죽자 눈물의 제문 직접 써
민씨 묘지명은 최립에게 부탁
후손들 민씨 곁에 이시발 묻어
지금과 다른 적서 관념의 단면
“자네는 나를 버리고 어디로 갔는가. 내 늘 자네에게 말했지, 나보다 열여섯 살 적으니 뒤에 죽어야 한다고. 자네는 또 ‘내가 먼저 죽길 원하오’라고 했지. 사생(死生)은 인연 따라 정해지고 명(命)에는 운수가 있다지만 자네가 어떻게 나보다 먼저 죽을 수 있단 말인가.”(제측실문·祭側室文)
벽오(碧梧) 이시발(李時發, 1569~ 1626)이 눈물로 쓴 아내 제문의 도입부다. 이시발은 문관이면서 병법에도 탁월하여 이괄의 난을 진압했고 후금(後金, 청나라)의 침공 가능성에 대비해 남한산성 보수를 진행한 인물이다. 중국어(漢語)에 능통하여 군사·외교 대책을 기획하는 막중한 직책을 소화했다.
조선시대 사대부로서 아내의 죽음을 이렇게 애절하게 표현한 사람이 있었던가. 제문의 주인공 이씨 부인은 네 번째 아이(딸)를 낳고 산후열로 시름시름 앓다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되었다. 겨우 스물다섯인 그녀가 사경을 헤매던 날 평안도 관찰사인 마흔한 살의 남편은 의주에서 외국 사신을 응접하느라 몸을 뺄 수 없었다. 아내가 죽은 지 12일 만에 평양의 관아로 돌아온 남편은 간담(肝膽)이 찢어지는 고통 속에서 만남에서 사별에 이르기까지 부부의 10년 역사를 회상한다.
죽은 아내 이씨는 사임당의 손녀이자, 옥산 이우(1542~1609)의 서녀이다. 아버지 이우(李瑀)는 사임당의 화풍을 계승하여 시·서·화·금(琴)에 모두 능해 4절(四絶)이라 불렸는데, 딸 이씨가 이 유전자를 고스란히 물려받은 것이다.....그런데 신부 이씨의 위치는 정실이 아닌 측실이었다. 조선사회는 처첩제(妻妾制)를 통해 일처(一妻)와 첩을 법적 가족으로 인정했는데, 그 안에는 또 복잡한 나름의 질서가 있었다. 양반의 서녀로 태어나면 대개는 양반의 측실이 되었다.
한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제도와 이념으로만 재단한다면 중요한 많은 것을 놓칠 수 있다. 태어나는 순간 승자팀과 패자팀으로 나뉘는 이런 구도에서는 어디에 속하든 삶의 온전한 의미를 구현하기 어렵다. 아직도 우리에게 남아있는 교만과 상처로 얼룩진 적서(嫡庶)의 유산은 청산되어야 한다.
https://v.daum.net/v/20240209003330252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본처에겐 데면데면, 젊은 첩 죽자 “훗날 자네 곁에…”
'人文,社會科學 > 歷史·文化遺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대사 앞에서 권총 꺼내 든 이승만”...프란체스카 여사 일기 속 그 날 [유석재의 돌발史전] (1) | 2024.02.16 |
---|---|
‘이승만 죽이기’ 60여 년, ‘팩트’를 지어내는 역사가들[송재윤의 슬픈 중국] (2) | 2024.02.11 |
“‘김일성의 아이들’아, 이승만의 ‘건국 전쟁’ 보러 가자!”[송재윤의 슬픈 중국] (2) | 2024.02.03 |
화엄사 홍매화, 천연기념물 지정… “경제적 가치 23억” (2) | 2024.01.25 |
[유홍준의 문화의 창] 대한제국의 영빈관, 덕수궁 돈덕전 (2)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