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學,藝術/고전·고미술

정민의 세설신어 [262] 추삼조사 (推三阻四)

바람아님 2014. 5. 14. 08:39

(출처-조선일보 2014.05.14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내가 평생 독서하려는 소원이 있었다. 
그 때문에 귀양을 오게 되자 비로소 크게 힘을 쏟았다. 
쓸데가 있다고 여겨 그런 것이 아니었다. 
승려들은 매번 글을 지어봤자 쓸데가 없다고 하면서 게으르고 산만한 곳에 몸을 내맡기니 자포자기함이 이보다 심한 것이 없다. 
독서하기 편한 것은 비구만 한 것이 없다. 
절대로 이런저런 장애에 걸리지 말고 힘을 쏟아 나아가야 한다
(余平生有讀書之願. 故及遭流落, 始大肆力, 匪爲有用而然也. 僧徒每云, 績文無用處, 任其懶散, 自暴自棄, 孰甚於此? 讀書之便, 莫如比丘, 切勿推三阻四, 着力前進也)."

다산이 제자인 초의 스님에게 준 친필 증언첩(贈言帖)에 나오는 한 대목이다. 
원문 중에 추삼조사(推三阻四)란 표현이 나온다. 말 그대로 세 가지 일을 추진하면 네 곳에서 제동이 걸리는 형국을 말한다.
결국 여기서 걸리고 저기서 자빠져서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게 된다. 세상 사는 일은 예상할 수 없는 장애물과의 전쟁이다. 
장애와 난관은 없는 적이 없다. 시련과 역경이 성취의 기쁨을 배가시킨다. 
귀양 왔다고 주눅 들고, 당장에 쓸데없다고 자기 성장을 멈추면 진짜 무언가 이뤄보려 할 때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다산은 유배지의 척박한 환경을 하늘이 주는 기회로 알고 학문에 몰두했다. 
이것으로 재기의 발판을 삼을 생각이 아니었다. 반성문을 쓰려고도 하지 않았다. 
벼슬길에서는 결코 꿈꿀 수 없었던 금쪽같은 독서의 시간을 하늘이 특별히 허락해 준 것으로 알고 이 시간을 달고 고맙게 받았다.

당시 불문의 제자가 다산의 문하를 들락거리는 것을 두고 절집 내부에서 말들이 많았다. 
그 서슬에 움츠러든 초의에게 그게 바로 자포자기라며 나무랐다. 
공부는 당장의 쓸모를 보고 하는 것이 아니다. 
해야 하고 아니 해서는 안 되기에 하는 것이다. 
숨을 생각하고 쉬는 사람이 있는가? 끼니마다 밥을 먹는 이유를 따지기도 하는가?
숨 쉬고 밥 먹듯 우리는 공부를 해야 한다. 어디다 써먹을지는 따질 필요가 없다. 
공부는 빠른 법도 늦는 법도 없다. 할 때가 빠른 때고 안 할 때가 늦은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