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2025. 2. 6. 05:20
트럼프 보편 관세 현실화 시 가격 경쟁력 약화 우려
"역직구 주요 품목 미리 현지에 배치할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국내 '역직구'(해외 직접 판매) 관련 물류 및 구매 대행 업계가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후보자 시절 공약했던 보편 관세 공약이 우리나라로 확대될 경우 미국으로 국내 제품을 판매하는 역직구 시장도 영향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은 온라인 면세점 구매가 대부분인 중국을 제외하면 사실상 역직구 1위 국가로 전용 풀필먼트센터를 구축했거나 관련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들 사이에서는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 모습이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미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역직구 시장의 규모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으로 역직구된 국내 제품 규모는 34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1.7%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역직구 규모가 1조 6971억 원에서 1조 7225억 원으로 1.5%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미국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이처럼 성장하는 미국 역직구 시장에 발맞춰 국내 중소형 이커머스 플랫폼이나 물류 기업들은 전용 풀필먼트센터를 국내와 해외에 구축하는 등 관련 사업을 확장하는 추세다. 해외 이용자를 타깃으로 한 전용 플랫폼을 운영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뷰티 플랫폼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국내 브랜드의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지만 K뷰티가 대세인 흐름은 바꾸지 못할 것"이라며 "중저가 시장은 중국과 경쟁 관계인데 중국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관세율이 부과되면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https://v.daum.net/v/20250206052008449
"역직구 불똥 튈라"…트럼프 관세 정책에 역직구 업계 '촉각'
'時事論壇 > 産業·生産·資原'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보] 崔 "배터리·바이오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최소 34조 규모 (1) | 2025.02.05 |
---|---|
경제성 논란 '대왕고래' 탐사시추 본격화…경북·포항 "성공 지원" (0) | 2025.01.28 |
'돌아온 트럼프' IRA 폐지 수순…K-전기차·배터리 '비상' (0) | 2025.01.22 |
[한삼희의 환경칼럼] 탈원전 원조국 독일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 (0) | 2025.01.17 |
[기고] 中의 자원 무기화에 맞서 한미 공동 대응을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