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25. 3. 26. 23:02 수정 2025.03.27. 00:43
산불 희생자들 안타까운 사연
예순 살 아들은 목 놓아 울지도 못했다.
26일 오후 경북 영덕군 영덕전문장례식장에 차린 이모(89)씨와 권모(86)씨 부부 빈소에서 만난 아들 이모(60)씨는 “불이 나서 남들 구하러 갔다가 정작 내 부모는 챙기지 못했다”며 뒤돌아 눈물을 훔쳤다. 농사를 짓던 이씨 부부는 전날 오후 10시 대피령을 듣고 산불을 피하다가 화마(火魔)를 이기지 못했다. 아들 이씨는 전날 오후 6시 재난 문자를 받고 곧바로 영덕군민운동장으로 달려가 대피 차량들을 안내했다. 화물차 운전자인 그는 수년째 지역에서 교통 안내 봉사 활동을 하고 있다.
의성에서 넘어온 불길이 영덕읍으로 번지자 ‘부모님이 잘 계실까’ 하는 불안감이 커졌다. 그러나 이씨 아내가 오후 10시쯤 부모 댁에 달려갔을 땐 불길이 집 전체를 삼킨 이후였다. 부모는 집에서 50m 떨어진 인근 밭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다.
이씨는 “90세 가까운 노인인데도 아버님은 산에 올라가 나무를 베 짊어지고, 오토바이를 타고 시장에 갈 정도로 활력이 넘치셨다”며 “부모님 유언도 못 듣고 보낸 게 한스럽다”며 고개를 떨궜다.
경북 의성에서 안동·청송·영덕·영양 등으로 번진 대형 산불과 관련해 숨진 21명(조종사 1명 제외) 상당수는 80대 이상 고령층이다. 거동이 불편한 이들은 불길을 피하려다 주택과 도로 등에서 불에 휩싸인 것으로 나타났다.
https://v.daum.net/v/20250326230216948
남들 구하러 간 사이, 정작 부모는 불길에... 고개 떨군 아들
남들 구하러 간 사이, 정작 부모는 불길에... 고개 떨군 아들
예순 살 아들은 목 놓아 울지도 못했다. 26일 오후 경북 영덕군 영덕전문장례식장에 차린 이모(89)씨와 권모(86)씨 부부 빈소에서 만난 아들 이모(60)씨는 “불이 나서 남들 구하러 갔다가 정작 내
v.daum.net
“영화에서 보던 지옥인가” 경북 산불 현장 영상에 네티즌들 경악
조선비즈 2025. 3. 26. 20:15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닷새 동안 이어지며 안동·청송·영양·영덕 등 경북 북부의 인근 지역으로 확산했다.
불씨가 바람을 타고 빠르게 퍼지는 ‘비화’ 현상으로 거세게 번지자, 안동시와 청송군 등에서는 주민들 모두에게 대피령을 내렸다. 인근 시·군도 산불이 퍼진 읍·면의 주민들을 대피시켰다. 대피령을 내렸음에도 산림 당국은 의성 산불로 이날까지 18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했다.
26일 오후 1시쯤에는 의성 산불을 진화하던 소방헬기가 추락하면서 헬기 조종사 1명이 숨지고, 전국의 산불 헬기 운영이 중단되기도 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산불과 사투를 벌이는 소방관들과 화재 현장의 참혹함을 담은 사진과 영상이 확산하고 있다. ‘산불 현장 소방관 바디캠’이라는 15초 분량의 영상에는 ‘경상북도’로 적힌 방화복을 입은 소방관 8명이 찍혔다.
이들은 소방호스 등 장비를 챙기다가 검은 연기와 불에 타고 남은 잔해로 보이는 파편이 휘몰아치자 몸을 웅크리며 버틴다. 이 영상을 본 한 네티즌은 “영화에 나오는 지옥과 같은 풍경”이라고 했다.
https://v.daum.net/v/20250326201546039
“영화에서 보던 지옥인가” 경북 산불 현장 영상에 네티즌들 경악
“영화에서 보던 지옥인가” 경북 산불 현장 영상에 네티즌들 경악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닷새 동안 이어지며 안동·청송·영양·영덕 등 경북 북부의 인근 지역으로 확산했다. 불씨가 바람을 타고 빠르게 퍼지는 ‘비화’ 현상으로 거세게 번지자, 안동
v.daum.net
'人文,社會科學 > 自然과 動.植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불사태' 인명피해 75명으로 늘어…산청 진화율 99%(종합3보) (0) | 2025.03.30 |
---|---|
[사설] 초대형 재난 된 산불, 대응 체계 전면 변화를 (0) | 2025.03.28 |
의성 산불, 방어선 뚫고 안동으로... 고속도로 휴게소도 덮쳐 (0) | 2025.03.25 |
영춘화·봄맞이·보춘화, 이름으로 새 봄 알리는 꽃들 [김민철의 꽃이야기] (0) | 2025.03.04 |
[인플루언서 프리즘] 은혜 갚은 동물들…유튜브서 확산하는 교감 스토리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