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2015-6-8
이날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4개 광역자치단체장과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 자리에는 박원순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지사, 안희정 충남지사, 권선택 대전시장 등이 참석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도 국회에 메르스대책특위를 설치하는 등 초당적 협력을 합의했다.
뒤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야 메르스를 잡기 위한 범국가적 대응 체계가 갖춰지는 것 같아 다행이다. 정부와 지자체, 여야가 협력기로 한 만큼 더 이상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기를 기대한다.
메르스는 격리대상자가 2361명까지 느는 등 여전히 확산 추세다. 한편 잠복기가 끝날 때까지 아무런 증상을 보이지 않아 격리 해제된 사람도 560명에 이르고 있다. 방역당국이 초동 대처를 못해 병원 내 감염이 확산됐으나 아직 우려했던 지역전파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 검사 결과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메르스는 중동 것의 변종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중동의 사례로 볼 때 한국에서도 공기 중 전파나 지역사회 전염은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메르스가 완전 박멸되기 전까지는 정부와 의료계, 국민 모두 긴장의 고삐를 늦춰선 안 될 것이다.
지역전파를 막기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은 병원 내 감염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추적해 격리하는 것이다. 보건당국에선 오는 12일이 2차 확산의 고비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발병자가 가장 많이 나온 평택성모병원에 환자나 의료진이 마지막으로 있었던 시점이 지난달 29일이다. 최대 잠복기(14일)를 지난 12일이면 평택성모병원발(發) 환자는 더 이상 나오지 않을 확률이 높다. 그러나 삼성서울병원에서 시작된 2차 유행은 아직 확산일로에 있다. 특히 이 병원에서 14번 환자와 접촉한 것으로 의심되는 893명에 대해선 철저한 추적 관리가 필요하다. 14번 환자는 현재까지 17명을 감염시킨 수퍼보균자로 드러났다. 따라서 이 환자의 동선을 철저히 파악해 접촉자에 대한 통보 조치와 감염 여부 검사, 격리 조치가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
정부는 이날 메르스 병원 명단 공개 때도 일부 병원의 이름과 소재지를 잘못 발표해 혼선을 빚었다. 정부는 지자체와 야당이 협력기로 한 만큼 기관끼리 정보를 최대한 공유해 다시는 이 같은 실수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 사실 질병관리본부가 의료계에 대해서만이라도 미리 충분한 정보를 주었더라면 첫 환자를 확진했던 삼성서울병원에서 그렇게 많은 3차 감염자가 발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국민들은 이미 수시로 손을 씻고 사람들이 많은 곳을 피하는 등 ‘방어기제’를 작동하기 시작했다. 우리 공동체의 경각심이 상당히 높아진 만큼 정부와 지자체, 의료계가 손을 잡고 총력 대응을 한다면 메르스라고 못 잡을 이유는 없다.
'時事論壇 > 핫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론] 소위 '국회선진화법'은 폐지해야 한다 (0) | 2015.06.10 |
---|---|
[사설] 환자 발생 6일 만에야 첫 대면보고 받은 대통령 (0) | 2015.06.09 |
[이훈범의 생각지도] 이 무능한 정부를 어찌할꼬 (0) | 2015.06.07 |
[사설] 무개념 시민의식이 메르스 대응 더 어렵게 한다 (0) | 2015.06.05 |
[사설] 정부의 총체적 무능이 메르스 비상사태 불렀다 (0) | 201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