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文化/그때그일그사람

4000년 전 잡곡 직접 재배 유적 발견

바람아님 2015. 11. 10. 00:14
서울신문 2015-11-03

인천·양양서 기장 등 눌린 자국 확인


신석기시대의 대규모 취락 유적인 인천 운서동에서 조, 기장 등의 곡물이 눌려 있는 흔적(압흔) 131점이 발견됐다. 곡물의 압흔이 발견된 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확인됐다.

▲ 인천 운서동 신석기시대 유적지에서 발견된 빗살무늬토기에 나타난 곡물이 눌린 흔적들.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일 “식물고고학을 통한 선사시대 농경화 연구를 진행하며 중앙문화재연구원, 강릉대 박물관과 함께 인천 운서동 유적과 양양 지경리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를 조사한 결과 인천 운서동 신석기 전기 곡물 압흔 131점과 양양 지경리 신석기 중기 조, 기장, 들깨 압흔 294점을 확인했다”면서 “이는 서해안에서 시작된 신석기 초기 농경문화가 동해안과 남해안으로 확산됐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특히 중부 서해안 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기원전 4000~3600년)의 대규모 취락 유적인 인천 운서동 유적지에 대한 조사 결과는 초기 농경에서 조, 기장 등의 잡곡을 직접 재배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귀증한 실증 자료로 평가된다. 아울러 양양 지경리 유적에서 확인된 압흔에서는 다른 유적지에서와 달리 기장의 산출량이 조의 약 6배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돼 기장 중심의 농경이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도토리를 위주로 한 채집 또는 수렵 중심의 생활에서 조, 기장 등의 잡곡 농경이 도입돼 생업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등 생업 방식이 크게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연구소 관계자는 “이번에 확인된 조, 기장, 들깨 압흔 대부분은 껍질에 싸인 상태로 탈곡된 후 도정 단계에서 토기에 혼입됐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 모두 가을작물이라는 점에서 추수 이후인 10월을 전후한 시점에 토기가 제작됐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승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