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2016.08.28. 13:26
잠자리가 이처럼 오랫동안 살아 남을 수 있었던 것은 정지·후진·뒤집기를 자유 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비행기술과 머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커다란 겹눈에 있다. 겹눈은 1만(실잠자리류)~2만8000 개의 많은 낱눈들이 모여 이루어졌으며 육각형 모양이다. 각각의 낱눈에는 모두 시신경이 연결되어 있고 원형으로 돌출돼 전방뿐 아니라 측방 및 후방 일부까지 볼 수 있다. 또한 두 겹눈 사이 정수리 쪽에는 세 개의 홑눈(정수리의 까만 단추 모양)이 있어 빛의 밝기를 측정하고 원근과 명암을 파악해 겹눈이 인지한 사물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지금 세계 각국에서는 잠자리 눈의 특성을 이용한 레이더를 개발하고 있으며, 잠자리처럼 날 수 있는 비행체 만들기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 월드컵공원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실잠자리의 눈을 Canon 65mm 매크로 렌즈로 촬영했다.
잠자리는 약 3억2500만 년 전 고생대 석탄기부터 곤충계의 포식자로 군림해 오고 있다. 그 종류만 해도 전 세계적으로 5800여종이 넘고 우리나라에도 120여 종이 분포해 있다.
사진·글 김경빈 기자
'人文,社會科學 > 自然과 動.植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연재 숲 이야기ㅣ국립수목원] ,잔혹했던 왕의 숲, 한국을 대표하는 숲으로 ,거듭나다 (0) | 2016.08.30 |
---|---|
[일사일언] '정승나무' 꽃 필 때 (0) | 2016.08.29 |
[IF] 식물도 말하고, 싸우고, 생각합니다 (0) | 2016.08.27 |
초음파 스텔스 기술 지닌 나방이 있다 (0) | 2016.08.26 |
[일사일언] 100일간 붉은 꽃, 백일홍 (0) | 2016.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