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時流談論

[중앙시평] 이념은 왜 바꾸기 힘든가

바람아님 2017. 3. 4. 22:12
중앙일보 2017.03.04 02:03

이념은 거대한 정보 복합체다
정보는 물질적 바탕을 지녔다
이념은 신경세포들에 담긴다
당연히 이념은 바꾸기 어렵다
북한에의 인식은 바꿀 수 있다
안 지사는 북한에 대해 말하라
복거일소설가
안희정 충남지사의 이념이 주목을 받는다. 극좌파였던 그가 중도적 태도를 보이면서 그런 변신이 진정인지, 위장인지 궁금한 것이다.

이념은 바꾸기 어렵다. 먼저 이념은 갖가지 정보들이 유기적으로 조직된 복합체다. 그렇게 거대한 복합체를 한꺼번에 다른 것으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음, 사람이 지닌 이념은 육체적 바탕을 지녔다. 물리학자 롤프 란다우어의 구호대로 ‘정보는 물질적이다(Information Is Physical)’. 우리 마음속 정보들은 뇌의 신경세포들에 담긴다. 거대한 정보들의 복합체인 이념이 바뀌려면 수많은 신경세포가 구조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 일엔 큰 비용이 들어가므로 누구도 이념이나 신념을 쉽게 바꾸지 못한다. “신은 주사위를 굴리지 않는다”면서 양자역학을 끝내 외면한 아인슈타인은 증거를 엄격히 따르는 과학자들까지 그러함을 보여준다.


셋째, 뇌 속에 먼저 자리 잡은 이념들은 경쟁력이 크다. 사람의 천성과 직관에 맞는 이념들은 쉽게 마음속에 자리 잡는다. 합리적이지만 반직관적인 이념이 먼저 자리 잡은 인기 높은 이념을 대치하는 일은 어렵다.

한국의 좌파 지식인들의 이념적 복합체는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근본적 부분은 사회의 구조와 변화를 설명한 마르크스주의다. 그 위에 마르크스주의를 구현한 공산주의 체제에 관한 견해가 자리 잡았고, 다시 그 위에 북한 정권에 대한 태도가 자리 잡았다.


무엇이든 근본을 바꾸기는 힘들므로 사회를 이해하는 근본적 틀인 마르크스주의를 버리는 것은 무척 힘들다. 그것을 구성하는 명제들 가운데 현실과 너무 어긋난 것들 몇을 어렵사리 버리더라도 틀 자체를 바꾸기는 불가능하다. 게다가 마르크스주의는 사람의 천성과 직관에 잘 맞는다. 인류 역사엔 법칙이 있고 그 법칙에 따라 사회는 평등한 공산주의 사회를 향해 나아가므로 모두 그런 움직임을 도와야 한다는 주장보다 더 매력적인 이념이 있을까? 그래서 그 이념은 늘 많은 추종자를 거느릴 것이다.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견해를 바꾸는 일도 힘들다. 스탈린이 히틀러와 맺은 불가침조약도, 소련군이 동유럽의 민중 봉기들을 탄압한 것도 언급하지 않은 에릭 홉스봄의 현대사는 여전히 고전으로 숭상된다. 공산주의 체제들이 무너져 흉측한 모습을 드러낸 뒤 홉스봄은 자본주의도 실패했다고 항변했는데, 좌파 지식인들은 그 억지를 명언으로 꼽는다.

북한 정권의 사악함은 이미 오래전에 드러났고, 북한 정권 자신이 날마다 우리에게 그것을 일깨워준다. 자연히 이 부분에 대한 생각을 바꾸는 것은 최소한의 지적 정직만으로 가능하다.


위에서 살폈듯이 안 지사가 평생 의지해 온 마르크스주의의 틀을 버리리라 기대할 수는 없다. 이념이 뇌의 구조에 바탕을 두었다는 사실은 그런 변신을 불가능하게 한다.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견해를 바꾸는 것도 무척 어려울 것이다. 자신이 배운 역사 지식들을 거의 다 버리고 새로운 역사 지식들을 습득하는 일이 어찌 쉽겠는가? 결국 그가 당장 바꿀 수 있는 것은 북한 정권에 대한 태도다. 지금 시민들이 바라는 것도 그것일 터이다.


근자에 안 지사는 상당히 바뀐 모습을 드러냈다. 그런 변신엔 아마도 도지사로 일한 경험이 작용했을 것이다. 무슨 일이든 사회의 구성 원리를 거스르면 잘 안 되므로 도지사로서 일들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그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원리를 배우는 줄도 모르고 배웠을 것이다. 실은 그것이 그의 주군 노무현 대통령이 밟았던 행로다.


이제 안 지사는 북한 정권의 사악함과 죄과들을 지적하고, 북한 정권과 타협해서 대한민국의 건강과 안보를 해치지 않겠다고 확약해야 한다. 나아가 시장경제를 따르려고 진지하게 노력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구성 원리인 시장경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대통령이 되더라도 나라를 제대로 이끌 수 없다.


안 지사의 이념적 변신은 보기보다 너른 뜻을 지녔다. 그는 마르크스주의를 유난히 깊이 받아들인 세대에 속한다. 어느덧 그 세대가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되었다. 사회를 이끄는 세력이 되면 책임이 따른다. 지금까지 해 온 것처럼 낡은 이념을 지키면서 실재하는 체제를 비판하는 것만으로는 당연히 부족하다. 사회를 이끌려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대해 배우고 이해해야 한다.

지금 ‘386세대’의 뇌에선 이미 자리 잡은 마르크스주의 세계관과 현실이 끊임없이 보내오는 새로운 지식들이 거세게 부딪친다. 그 싸움의 결과에 우리 사회의 운명이 적잖이 달렸다. 뇌에서 일어나는 이념적 싸움은 보이지 않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싸움은 없다. 투표도, 시가전도 그 싸움의 결과를 확인하는 절차에 지나지 않는다.


복거일 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