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백영옥의 말과 글] [2] 모르고 사는 즐거움

바람아님 2017. 7. 1. 10:00

(조선일보 2017.07.01 백영옥 소설가)


백영옥 소설가몇 달 전 라디오 방송 진행을 맡게 된 후 이래저래 불안함을 토로하자 친구가 글 한 편을 보내주었다. 

'걱정의 40%는 절대 현실로 일어나지 않는다. 걱정의 30%는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한 것이다. 

걱정의 22%는 사소한 고민이다. 걱정의 4%는 우리 힘으로 어쩔 도리가 없는 일에 대한 것이다. 

걱정의 4%만 우리가 바꿔놓을 수 있는 일에 대한 것이다.' 

어니 젤린스키'모르고 사는 즐거움'이었다.


이 글을 읽어도 걱정이 가라앉지 않아 평소 친하게 지냈던 정신과 전문의에게 '상담 프로그램' 

비슷한 걸 맡게 된 심경을 토로했다. 

"이런 경우 저는 '시킬 만하니까 시키는 거다'고 생각해요. 

'판을 깔아줬으니 즐겁게 나를 보여주자' 생각하고요. 피디야말로 그 분야 베테랑인데. 

백 작가가 못하면 피디 잘못도 있는 거 아닌가?" 

의 말을 듣자 거대한 불안에 연고를 듬뿍 바른 기분이었다.


살면서 수도 없이 걱정한다. 돈 걱정, 취업 걱정, 자식 걱정, 건강 걱정까지. 

그중 특별히 더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건 한 번도 해보지 않았던 일을 하게 될 때의 걱정들. 

하지만 내 경우 걱정 많은 성격 탓에 미리미리 일을 해치우는 습관이 생겨 조금 덜 실수하며 산 게 아닌가 싶다.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칼럼 연재를 할 때 예상치 못한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늘 여분으로 2~3개 칼럼을 더 가지고 

있다고 하니, 말을 말자.


걱정 많은 사람은 걱정 덕에 자신을 점검하고 검토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기 때문이다. 

참 피곤한 성격이라고 생각하겠지만 본인으로선 피곤하지 않기 위해 그러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성격 탓에 사회에서 인정받기도 한다. 그러므로 문제는 걱정 그 자체는 아닌 셈이다. 

문제는 '과도한 걱정'이고, 가장 큰 문제는 '걱정만 하는' 경우다. 

친구의 마지막 말도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라는 티베트 속담이었다. 

걱정 많던 라디오 디제이 일도 그럭저럭 석 달을 넘겼다. 

걱정을 하든 안 하든 시간은 잘만 간다.




<< 게시자 추가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