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3%에서 2.8%로 내렸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도 2.6%로 기존보다 0.3%포인트 낮췄다. 미ㆍ중 무역 갈등 같은 대외적 요인에 지난해부터 가시화한 한국 경제의 내부적 취약 요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IMF는 9일(현지시각)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 글로벌 무역 전쟁, 지속 가능하지 않은 포퓰리즘 정책 등의 영향으로 세계 경제 성장세가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올해와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9%에서 3.7%로 하향 조정했다.
[중앙일보] 2018.10.09 16:10
IMF가 세계 경제전망을 하향 조정한 것은 2016년 7월 이후 처음이다. 그간 세계 경기의 꾸준한 성장을 낙관했던 IMF 입장에 변화가 생긴 셈이다.
세계 성장률을 깎아 먹은 곳은 주로 신흥국들이다.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기초체력이 약한 신흥국 중심으로 자본 유출 우려가 가시화하고 있어서다. 신흥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4.9%에서 4.7%로 낮아졌다. 내년 전망치는 5.1%에서 4.7%까지 떨어졌다.
주요 투자은행(IB)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ㆍ아시아개발은행(ADB)에 이어 IMF까지 한국의 성장률 전망을 2%대로 하향 조정하면서 본격적인 경기하강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세계 경제가 불안해지면 수출 주도 경제인 한국이 기댈 곳이 사라진다. IMF는 보고서에서 “한국과 호주의 성장 전망을 내린 것은 최근 나온 무역 조치의 부정적인 효과가 부분적으로 반영된 결과”라고 밝혔다. 한국이 수출을 많이 하는 미국ㆍ중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해지면 경제 성장에 타격을 입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한미 금리 역전 폭이 커진 점은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확산할 수 있는 요인이다.
내부적으로도 불안요인이 산적하다. 설비투자는 20년 만에 최장기 마이너스를 지속하고 있고,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09년 8월 이후 최저치다. 고용지표는 90년대 후반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흐름이다.
특히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 3월 이후 5개월 연속 내림세다. 통계청은 이 수치가 6개월 연속 하락하는 것을 경기 전환의 판단 기준으로 삼고 있다. 9월에도 내림세가 이어진다면 사실상 경기하강 국면으로 들어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익명을 요구한 금융당국 최고위 관계자는 중앙일보와 만나 “수출ㆍ소비가 나쁘지 않은데 기업들의 투자 심리가 위축돼 성장률 예측치가 (2.9%에서) 2.8%로 내려갈 듯하다”며 ““9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은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2%대 저성장 흐름이 굳어지면서 구조적인 장기침체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IMF나 OECD에는 한국 정부에서 파견된 직원들이 많고 그 사람들의 의견이 반영되는데, 한국 정부(2.9%)보다 전망치를 더 내렸다는 것은 한국 경제가 생각보다 더 좋지 않다는 의미”라며 “수출은 사실상 고점을 찍었고, 내수는 가라앉는 상황이라 내년부터는 2%대 중반에서 성장률이 고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손해용ㆍ장원석 기자
'時事論壇 > 經濟(內,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경제] 한때 '절친'이었던 '차메리카', G1 자리 놓고 벌이는 무역전쟁 (0) | 2018.10.15 |
---|---|
글로벌 주가 급락, 미국 긴축보다 중국 돈 푸는 게 더 위험 (0) | 2018.10.14 |
[사설] '태양광' 전액 은행 대출, 시민단체 출신들 조합에 돈벼락 (0) | 2018.10.04 |
[데스크에서] '펀드 황제'의 위기 탈출법 (0) | 2018.09.18 |
[사설] 한국 경제, 침체의 덫에 빠져들고 있다 (0) | 2018.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