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2023. 4. 7. 00:01
▲상하이 모더니스트그룹 '결란사'
외국서 공부한 니이더·팡쉰친 1931년 결란사 창립
천정보·장솬·추디 합류…미술의 '이용가치'에 딴죽
"자연모방·종교노예 아니야…미술은 미술 그 자체"
한 스타일 추구 않고 서양미술사조 관대하게 수용
짧은 활동에도 미술사 한 페이지 강렬하게 장식해
중국 그림을 보지 못한 지 한참입니다. 한국 미술시장이 자못 뜨거웠던 지난해와 올해, 세계의 작가와 작품이 우리를 기웃거리던 때도 중국은 없었습니다. 중국 ‘큰손’ 컬렉터의 규모와 수가 미국을 제쳤다는 얘기도 이미 2~3년 전입니다. ‘으레 미술은, 그림은 그런 것’이라며 반쯤 우려하고 반쯤 체념했던 한국화단을 뒤흔든, 기발한 감수성으로 뒤통수를 내리쳤던 중국 작가들이 하나둘 사라졌습니다. 예술을 예술이 아닌 잣대로 들여다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술에 기대하는 희망 역시 그런 게 아니겠습니까. 정치에도 경제에도 답이 없다 생각할 때 결정적인 열쇠를 예술이 꺼내놨습니다. 오랜시간 미술사를 연구하며 특히 중국미술이 가진 그 힘을 지켜봤던 정하윤 미술평론가가 이데일리와 함께 그 지점 그 장면을 들여다봅니다. 때마침 ‘한중 수교 30주년’입니다. 다들 움츠리고 있을 때 먼저 돌아보는 시간이고 먼저 찾아가는 길입니다. 매주 금요일 독자 여러분을 깊고 푸른 ‘아트차이나’로 안내합니다. <편집자 주> |
미술의 오랜 이용가치에 대해 딴죽을 건 일군의 미술가들이 20세기 초에 등장했다. 그들은 미술은 그냥 그 자체로 충분하다는, 꽤나 신박한 주장을 펼치기 시작했다.
이런 혁명은 서구에서나 있었을 법하지만 웬걸. 대략 90년 전, 중국 상하이에서도 ‘예술을 위한 예술’을 부르짖는 이들이 있었다. 바로 상하이의 모더니스트그룹 결란사(決瀾社)의 멤버들이다. 혈기왕성했던 그들은 ‘위대한 파도’란 이름을 걸고, 야심 찬 선언문까지 발표하며 ‘예술을 위한 예술’의 출발을 공표했다.
마오쩌둥 시대 문화대혁명 폭풍 못 피해…결란사 각자도생
그러다 결국 1935년 10월, 결란사는 4회전을 끝으로 해산했다. 마지막 전시에 대해 팡쉰췬은 이렇게 말했다. “마지막 이틀, 관람객은 매우 적었고 날씨마저 흐렸다. 결란사는 이처럼 암담한 가운데 역사를 마감했다.”
무엇이든 ‘쓸모’를 입증하고 ‘효용’을 따져대는 피곤한 시대, 결란사의 주장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믿고 싶다. 미술은 그냥 그 자체로 충분하다고 말이다.
https://v.daum.net/v/20230407000136097
"예술을 위한 예술, 뭐 문제라도 있습니까"[정하윤의 아트차이나]<26>
'文學,藝術 >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로 보는 세상] 사라진 미녀, 되찾은 매혹 (2) | 2023.04.09 |
---|---|
‘진주 귀걸이 소녀’ 패러디 최고 인기작은 한국 ‘옥수수’ (2) | 2023.04.08 |
화가의 믿음[이은화의 미술시간]〈261〉 (2) | 2023.04.06 |
현실과 이상의 괴리, 가위질할 수 있다면[정하윤의 아트차이나]<25> (1) | 2023.03.31 |
봄의 모습[이은화의 미술시간]〈260〉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