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中國消息

[특파원 리포트] 사회주의 국가의 천재 사용법

바람아님 2025. 2. 4. 01:55

조선일보  2025. 2. 4. 00:07 수정 2025.02.04. 00:26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출시해 세계를 놀라게 한 고성능 AI(인공지능) 모델은 ‘미스터리’로 여겨진다. 미국의 대(對)중국 기술 봉쇄를 극복했고, 혁신을 저해한다고 여겨지는 중국의 강도 높은 국가 통제 가운데 탄생했다는 점에서 그렇다. 자유주의 진영은 불안해한다. ‘설마, 중국의 사회주의식 거국 동원 체제(산·학·연 및 국민 총동원)가 첨단 기술 분야에도 잘 통하는 것일까.’

중국이 기술 분야에서 성과를 내는 비결로 정부 보조금, 국가 주도 산·학·연 협력, 조직적인 기술 탈취 등이 거론된다. 하지만 ‘창조력’을 강조해온 중국의 ‘젊은 천재 사용법’은 간과되는 듯하다. 딥시크의 성공 경로는 정부가 산·학·연을 지휘해 탄탄한 첨단 기술의 기반을 만든 다음 그 위에 젊고 몸집이 가벼운 ‘천재 스타트업’을 풀어놓는 방식을 따랐다.

량원펑은 17세에 중국 명문대에 입학해 공부한 ‘토종’으로, 30대 초반에 중국 AI 기반 투자 회사를 설립했다. 첨단 산업의 최전선 지휘관으로 젊은 천재를 투입하고 밀어주는 중국의 ‘소년병 전략’은 전례가 적지 않다. 세계 1위에 오른 드론 기업 DJI(2006년 창업)와 소셜미디어 틱톡(2012년)은 각각 ‘대중창업(大衆創業, 중국 정부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 정책 혜택을 받은 29세 장이밍과 대학의 투자를 받은 35세 왕타오가 만들었다. 

중국은 천재 등용에 왜 집착할까. 옛 소련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는 발버둥으로 본다..... ‘칩워’의 저자 크리스 밀러 미 터프츠대 교수는 소련의 패착이 ‘베끼기 전략’이었다며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기술은 모방으로 격차를 좁힐 수 없다고 했다.

중국은 때론 괴짜라고도 불리는 ‘젊은 천재’를 투입하고 지원함으로써 뒤따라가기만으론 이길 수 없다는 첨단 기술 ‘전쟁터’에서 승기를 잡으려 한다. 량원펑은 딥시크 설립 초기 한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의 격차는 독창성(미국)과 모방(중국)에서 비롯한다”라고 했다. 지금 중국의 목표는 미국 따라 하기가 아니라 독자적인 기술력 확보여야 한다는 뜻이다. 스스로 창조하지 않으면 나라는 망한다는 것을, 사회주의 국가도 알고 있다.


https://v.daum.net/v/20250204000716606
[특파원 리포트] 사회주의 국가의 천재 사용법

 

[특파원 리포트] 사회주의 국가의 천재 사용법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출시해 세계를 놀라게 한 고성능 AI(인공지능) 모델은 ‘미스터리’로 여겨진다. 미국의 대(對)중국 기술 봉쇄를 극복했고, 혁신을 저해한다고 여겨지는 중국의 강도 높

v.daum.net

 

칩워, 누가 반도체 전쟁의 최후 승자가 될 것인가 베스트셀러
저자          크리스 밀러  | 역자          노정태
출판          부키  |  2023.5.19.
페이지수   656 | 사이즈    149*219mm
판매가       서적 25,200원    e북 1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