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4.03.03 유석재 기자)
같은 소리, 반대 뜻 '동음반의어'
'오랫동안 외세 침략을 당한 민족이어서 배외 감정이 크다'의 '배외'와
'외국 것이라면 무조건 좋아하는 배외 정신은 버려야 마땅하다'의
'배외'는 같은 말일까? 정반대 뜻이다.
전자는 '외국 것을 배척해 물리친다'는 '배외(排外)'이고, 후자는 '외국 것을
맹목적으로 숭배한다'는 '배외(拜外)'다.
한글 전용의 커다란 맹점 중 하나가 '동음반의어(同音反義語)', 즉 '소리는 같은데
뜻은 반대인 용어'의 존재다. 한글로 '5연패'라고만 쓰는 경우 연패가 잇따라
이겼다는(連覇) 것인지 잇따라 졌다는(連敗) 것인지 알 수 없게 돼 버린다.
자칫 안전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동음 반의어도 있다.
자칫 안전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동음 반의어도 있다.
'방화(防火)' '방수(防水)'는 각각 '불을 막다' '물을 막다'는 뜻인데,
'방화(放火)' '방수(放水)'라고 쓰면 '불을 지르다' '물을 흘려보낸다'는 뜻이 된다.
'실권(實權)'은 '실제로 행사할 수 있는 권리나 권세'란 뜻인 반면
'실권(實權)'은 '실제로 행사할 수 있는 권리나 권세'란 뜻인 반면
'실권(失權)'은 '권리나 권세를 잃는다'는 뜻이다.
한글로 '실권자'라고만 적어 놓으면 의미가 혼란스러워진다.
비슷한 경우로 '실효(實效·실제로 나타나는 효과)'와 '실효(失效·효력을 잃음)'가 있다.
'저 여성은 정부다'라고만 하면 칭찬인지 비난인지 알 수 없다.
'저 여성은 정부다'라고만 하면 칭찬인지 비난인지 알 수 없다.
'정부(情婦)'는 '아내가 아니면서 정을 두고 깊이 사귀는 여성',
'정부(貞婦)'는 '슬기롭고 절개가 굳은 여성'이란 뜻이기 때문이다.
또 ▲'수상(受賞)'은 '상을 받는다', '수상(授賞)'은 '상을 준다'
▲'소음(騷音)'은 '시끄러운 소리', '소음(消音)'은 '소리를 없애거나 작게 한다'
▲'과욕(過慾)'은 '욕심이 지나치다', '과욕(寡慾)'은 '욕심이 적다'
▲'편재(偏在)'는 '한곳에 치우쳐 있다', '편재(遍在)'는 '널리 퍼져 있다'는 뜻이다.
'人文,社會科學 > 日常 ·健康'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중일 문화장관, 공용한자 808자 논의 (0) | 2014.12.02 |
---|---|
옥스퍼드 사전 선정 올해의 단어 'vape' (0) | 2014.11.27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찌질이 (0) | 2014.11.06 |
“庭園이 아니라 ‘園林’입니다” 조경 전문가 박경자씨 주장 (0) | 2014.10.31 |
[백성호의 현문우답] 통찰력 키우는 독서법 (0) | 2014.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