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표 정원으로 꼽히는 전남 담양군의 조선시대 정원인 명옥헌. 동아일보DB
이에 따르면 ‘원림’은 중국에서 유래된 용어로 ‘놀고 휴식하는 장소’였으나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정원’과 같은 뜻인 ‘동산의 뜰’, 다시 말해 집 안팎의 조경을 뜻하는 단어로 쓰였다. 지금은 ‘원림’보다 ‘정원’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지만 옛 문헌에 많이 나오는 용어는 ‘원림’이다. 조선왕조실록 효종편에 ‘새로 원림을 만들어 진귀한 새와 짐승을…’, 다산 시문집에 ‘살구나무 원림에서 술이나 늘 마시고…’ 등 ‘원림’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반면 ‘정원’은 ‘삼국사기’나 ‘고려사’ 같은 이른 시기의 문헌에는 보이지 않고, 약 16세기 문헌에서부터 간헐적으로 보이지만 그 용례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박 원장은 “일제강점기부터 ‘정원’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됐다”며 “경치가 빼어난 경승지의 중심 개념인 전통 조경을 지칭할 땐 ‘전통정원’이 아니라 ‘전통원림’이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영 기자
'人文,社會科學 > 日常 ·健康'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문맹(漢字文盲) 벗어나자] 다섯 번 이겨도 져도 한글로는 '5연패'… 한자 없인 의미 혼란스러워 (0) | 2014.11.24 |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찌질이 (0) | 2014.11.06 |
[백성호의 현문우답] 통찰력 키우는 독서법 (0) | 2014.10.18 |
‘아시아’라는 말의 기원 3000년 전 설형문자에 기록 본래 뜻은 ‘비유럽’인데… (0) | 2014.10.13 |
568돌 맞은 한글날 "한글은 우리 민족의 얼굴" (1) | 201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