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과 삶] 단청 국민일보 2017.04.20. 18:56 조선시대 궁궐인 창덕궁 단청단청(丹靑)은 말 그대로 붉고 푸르다는 뜻이다. 건축 재료의 색을 그대로 드러내는 전통가옥이 자연색이라면 단청으로 장엄하게 색을 올린 궁궐이나 사찰의 색은 정신색이라 불러도 좋겠다. 단청은 건축물의 주재료인 나무를 비바람이..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7.04.20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117] 뉴욕의 향기를 디자인하다 (조선일보 2017.04.01 정경원 세종대 석좌교수·산업디자인) 냄새는 감정과 기억을 이끌어내는 강한 힘을 갖고 있다. 세상에는 약 40만 가지의 냄새가 있는데, 그중 사람이 식별할 수 있는 건 1만 가지 정도이다. 독특한 냄새로 후각을 자극하는 향수는 향료를 알코올처럼 휘발성이 강한 액체..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7.04.01
현대식 온돌 개발자는 한국인이 아니다 조선일보 2017.02.26 02:00 [남자의 집짓기] ⑬ 되돌아본 우리 옛집(하) 어릴 적 시골집에서는 몇 년마다 겨울이 오기 전에 방바닥을 모두 들어내고 온돌 구들장을 새로 놓는 대공사가 벌어졌다. 구들장 밑에 붙어 있는 그을음을 정기적으로 긁어내고 새로 놓아야 불기운이 잘 전달되기 때문이..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7.03.02
요즘 단독주택이 놓치는 결정적 2가지 조선일보 2017.02.19 09:12 [남자의 집짓기] ⑫되돌아본 우리의 옛집(중) 이 글을 연재하면서 우리 주거문화가 아파트에 얼마나 종속돼 있는지를 새삼 절감한다. 무슨 얘기를 하더라도 아파트를 기준으로 각론이 제기되는 것을 보면서, 우리나라에서 매년 새로 건축하는 주택 중 순수 단독주택..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7.02.27
아파트 현관문이 밖으로만 열리는 이유 조선일보 2017.02.12 02:30 [남자의 집짓기] ⑪되돌아본 우리의 옛집(상) 20여년 전에 땅 고르고 터잡는 얘기로 책을 한권 펴냈다. 책 말미에 필자가 살던 경기 양평 무너미마을 이주기를 썼다. 그 책의 반향으로 내 글을 추적해 같은 동네로 10여 가구가 이사왔다. 지금은 배우 이영애씨가 살면..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7.02.27
[이달의 예술 - 건축] 한양도성은 지금도 축성 중이다 중앙일보 2017.02.25 02:50 혜화동 전시안내센터 조재원건축가·공일스튜디오 대표 건축은 공간의 예술이지만 동시에 시간의 예술이다. 교회가 나이트클럽이 되고, 공장이 전시장이 되고, 감옥이 난민 쉼터가 된다. 건물을 처음 올린 때의 용도와 기능이 유지되는 기간(생애주기)이 점점 짧아..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7.02.26
중국에 '수직 숲 도시' 들어선다 한겨레 2017.02.19 17:16 [미래] 이탈리아 밀라노 '고층 숲 아파트' 건축가 스테파노 보에리 이번엔 도시 전체를 나무로 덮는다.."중국 스자좡, 류저우가 대상" ‘수직 숲 도시’는 도시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까? 중국의 최대 대기오염 지역 중 한 곳인 스자좡에 이탈리아 건축가 스테파노 ..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7.02.19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115] '아트북'처럼 예쁜 스위스 여권 조선일보 2017.02.18 03:13 해외여행의 필수품인 여권은 '조용한 외교관'이다. 여권만 보아도 소지한 사람이 속한 나라의 품격을 한눈에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국가 브랜드 정체성 향상을 위해 여권을 독창적으로 디자인하는 나라가 늘고 있다. 네덜란드 여권은 페이지마다 위대한 선조들..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7.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