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文化/생활속사진

[Q매거진]봄의 정원, 따뜻한 휴식으로의 초대

바람아님 2015. 3. 1. 11:31

동아일보 2015-02-26


봄의 온실에는 벌써 여름의 기운이 완연하다. 사진의 온실 속 덩굴장미와 펠라고니움의 붉은 빛이 따뜻하고 낭만적인 아름다움을 연출하고 있다. 봄은 이렇게 특유의 빛이 담긴 '초대장'을 우리 모두에게 건넨다. 임종기 씨 제공

 

봄의 정원으로 오세요./석류꽃 향기로움 속에 따스한 햇살과 포도주와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어요./그대가 오지 않는다면 이게 다 무슨 소용이겠어요./그대가 온다면 이게 다 무슨 소용이겠어요.

13세기 페르시아의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 잘랄 아드딘 무하마드 루미의 시다. 봄이면 루미의 시가 전 세계에서 인용된다. 800년이 넘은 시가 아직도 우리에게 사랑을 받는 것은 ‘그대’라는 존재가 신이든 혹은 사랑하는 사람이든 새싹이 움트는 봄의 정원에 누군가를 초대하고픈 그 마음을 누구나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2006년의 봄. 영국에서 맞은 첫 봄이었다. 그 봄은 축축하고, 추웠고 그리고 어두웠다. 영하의 기온은 아니었지만 쌀쌀함이 뼈를 파고들었다. 건조한 한국의 봄과는 사뭇 그 느낌이 달랐다. 하지만 초록의 잔디 속에서 노란 수선화가 수백만 송이로 온 거리에서 돋아나면서 영국의 봄이 뭔가 다르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했다.

어느 날 수업이 끝나고 집으로 가는 길, 함께 가든 디자인 공부를 하던 ‘아줌마’ 친구로부터 ‘티타임 초대’라는 것을 받았다. 추위를 무릅쓰고 그녀의 집에 도착했을 때, 황홀함을 느꼈다. 한 평이 조금 넘는 직사각형의 작은 정원을 본 것이다. 초록의 잔디가 깔려 있는 이 정원에는 노란 수선화와 분홍 크로커스, 하얀 스노드롭이 눈이 시릴 만큼 강렬한 보색대비를 이루고 있었다. 정원의 한쪽에 마련된 티 테이블 위에 놓인 갓 구운 쿠키와 따끈한 홍차 한 잔을 보며 이 친구가 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봄을 갖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렇게 봄의 정원은 저마다의 목소리로 우리를 초대한다. 초대에 응할지 말지는 당신의 자유다. 단, 초대에 응했을 때 봄은 확실한 ‘보상’을 준다. 새싹과 꽃이 주는 ‘봄의 위로’이고, 스타일매거진 Q가 여러분에게 드리는 선물이다.

글=오경아 가든 디자이너·‘정원의 발견’ 저자

사진=임종기 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