記行·탐방·名畵/기행·여행.축제

[만물상] '정동 야행(貞洞 夜行)'

바람아님 2015. 5. 13. 08:29

(출처-조선일보 2015.05.13 김태익 논설위원)

서울 정동 덕수궁 옆에 있는 미국 대사관저를 '하비브 하우스'라고 부른다. 

1970년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낸 필립 하비브씨 이름을 땄다. 

이곳은 1884년 조선 왕실이 서양인에게 매각한 최초 부동산이자 미국 정부가 해외에 갖고 있는 공관 중에 가장 오래된 곳이다. 

또 서울에 있는 외국 대사관저 가운데 유일하게 한국 전통 가옥 모습을 하고 있다. 

130년 전 초대 주한 공사로 왔던 푸트는 키가 컸던 모양이다. 

"일어서면 모자가 천장에 닿아 불편하다. 대사관을 새로 지어야겠다"고 본국에 보고했다. 

그러자 국무부는 "조선에서는 실내에서 모자를 쓰면 법도에 어긋난다"며 이 집을 그냥 쓰라고 회신했다고 한다.


▶하비브 대사는 1975년 관저를 100여년 만에 고쳐 지으며 

미국 오리건주에서 더글러스 전나무를 들여와 대들보와 서까래로 썼다. 

벽과 천장에 흙을 발라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하게 했다. 

정원에는 경주 포석정을 본뜬 연못을 만들어 운치를 더했다. 

건축비가 예상 밖으로 늘어나자 한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들이 기부금을 모아 줬다.


	만물상 일러스트

▶하비브 하우스를 직접 본 한국인은 그리 많지 않다. 

근처의 많은 직장인이 점심시간이면 정동길을 산책하지만 철문은 굳게 닫혀 있고 이끼와 담쟁이에 덮인 돌 담장은 

높기만 하다. 오랫동안 도심 속 섬과 같았던 하비브 하우스가 처음으로 시민에게 문을 연다고 한다. 

5월 마지막 주말인 29~30일 서울 중구청이 주관하는 '정동 야행(貞洞 夜行)' 축제 행사의 하나로 정원을 보여줄 계획이다.


'정동 야행'은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 풍운과 애환의 근현대사 현장인 정동의 이모저모를 느끼자는 행사다

서울에 정동만큼 작은 길 하나 땅 한 조각에도 역사의 숨결이 배어 있는 곳은 드물다. 

정동에는 고종 아관파천(俄館播遷), 을사늑약의 아픈 흔적이 남아 있다. 

러시아 공사관 터, 구세군 중앙회관, 배재학당, 정동제일교회 같은 근대의 새벽을 알린 문화유산도 즐비하다.


▶때마침 서울시는 덕수궁 옆 옛 국세청 남대문 별관을 헐고 그 자리에 잔디 공원을 만들기로 했다. 

그렇게 되면 이 건물에 가려 있던 성공회 서울대성당이 시민들에게 모습을 활짝 드러낼 것이다. 

1926년 처음 세워진 성공회 대성당은 우리나라 서양 건축 도입기를 대표하는 건물 중 하나다. 

오랫동안 성장과 개발에 매달리면서 우리는 오늘을 낳은 어제를 잊고 살았다. 

옛 정취가 남아 있는 정동의 밤거리를 걸으며 어제를 돌아보는 시간 여행을 하고 싶다.



==============================================================================================================================

"주한 美대사, 한옥에 살고 있었네요"

오늘까지 '정동夜行' 축제… 美대사관저 일반에 첫 공개

(출처-조선일보 2015.05.30 기고자 홍준기)

종이신문보기▲ 종이신문보기

29일 오후 5시쯤 서울 중구 정동 주한 미국 대사관저 정문 앞. 일반 시민에게 처음 내부를 공개하는 
행사 시작 1시간 전인데도 벌써 60여명이 줄을 서 있었다. 서초구에서 왔다는 60대 여성은 "대기표라도 
먼저 받을 수 있을까 해서 오후 1시부터 와 있었다"고 했다. 
강서구에서 온 서문호(81)씨는 "꼭 와보고 싶었다"며 "캠코더도 들고 왔는데 촬영이 가능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줄 선 사람이 200여명까지 늘어난 오후 6시 입장이 시작됐다. 
시민들은 정문의 금속 탐지기를 통과한 뒤 정원으로 들어섰다.

이 행사는 중구 주최로 29일과 30일 밤 정동 일대 주요 역사·문화 시설을 시민에게 개방하는 
'정동야행(貞洞夜行)' 축제 일환이다. 29일엔 오후 6∼8시에 개방했고, 30일엔 오후 2∼6시에 개방한다.

미 대사관저는 1884년 조선 왕실이 서양인에게 매각한 첫 부동산이자 미국 정부가 해외에 갖고 있는 공관 중 가장 
오래된 곳이다. 서울에 있는 외국 대사관저 중 유일하게 한국 전통 가옥 모습을 하고 있다. 
미국의 해외 대사관저 중 최초로 주재국 전통 건축양식을 따랐다고 한다. 1970년대 관저 신축 당시 미 국무부 반대를 
무릅쓰고 한옥을 고집한 필립 하비브 당시 대사 이름을 따 '하비브 하우스'로도 불린다. 
1989년엔 전대협 소속 대학생들이 점거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총 1만여평 규모로, 대사가 주거하는 관저, 
옛 미 공사관 건물(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32호), 텃밭, 수영장, 정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날 공개 대상은 정문으로부터 안쪽 100여m까지여서, 정원에 있는 옛 공사관 건물까지만 둘러볼 수 있었다. 
조선 고종 때 건설된 옛 공사관은 2004년 복원된 것으로, 현재 미 대사관저에 손님이 오면 머무는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크 리퍼트 대사가 숙식하는 관저는 50m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만 볼 수 있었다. 리퍼트 대사는 이날 다른 행사에 가 관저에 
없었지만, 대사가 키우는 애완견 '그릭스비'가 시민들을 맞았다. 아내와 함께 대사관저를 찾은 전영후(44)씨는 
"구한말의 슬픈 역사를 품고 있는 이 대사관저는 뜻깊은 곳"이라며 "더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것은 아쉽지만 대사 가족이 
사는 곳까지 가는 건 예의가 아닌 것 같다"고 했다. 멀리 지방에서 온 사람도 있었고, 가이드 안내를 받은 일본인 관광객들도 
있었다. 방문객들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부부 사진 옆에 서서 기념 촬영을 하며 즐거워했다.

이날 총 방문객은 1850여명이었다. 
미 대사관 보안 담당자 빌 파워씨는 "800명 정도를 예상했는데 이렇게 많이 올 줄 몰랐다"고 했다. 
미리 신청을 받거나 당일 신분증을 확인하는 절차는 없었지만, 미 대사관 측 경비 인력 10여명이 금속 탐지봉 등으로 
방문객 소지품을 검사했다. 남대문경찰서도 정장 차림 경비 인력 등 60명을 대사관저 곳곳에 배치했다. 
남대문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가스총을 들고 온 사람도 있었으나 개인 소지품 차원이었고, 
별다른 난동을 부리는 사람은 없었다. 
미 대사관 공보담당관 앤서니 딘 트란키나씨는 지난 3월 리퍼트 대사 흉기 피습 사건이 있었는데도 이 행사를 연 것에 대해 
"대사에 대한 살해 기도는 일반적이지 않은 일이었다"며 "한국은 어느 외국과 비교해도 안전한 나라인데 이런 행사를 못 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오바마 대통령 부부 사진 옆에서 "찰칵"

29일 오후 서울 중구 주한 미국 대사관저를 방문한 시민들이 정원을 둘러보고 

오바마 미 대통령 부부 사진 옆에서 기념 촬영을 하며 즐거워하고 있다. 

미 대사관저가 일반 시민에게 개방된 건 이날이 처음으로, 1850여명의 시민이 찾아왔다



============================ 내년, 서울 세종대로가 확 바뀐다 ===================================

(출처-조선일보 2015.05.12)

[국세청 남대문 별관 이달 철거]

내년말까지 잔디광장 조성
근대모습 간직한 서울대성당, 세종대로서 한 눈에 보일 듯
광화문광장·시청 등과 지하로 연결하는 것도 추진

서울 세종대로의 옛 국세청 남대문 별관이 오는 7월 말까지 철거되고, 내년 초 이 자리에 광장 조성 공사가 시작돼 
내년 말 완공된다. 이 광장에는 지하 공간도 조성돼 장기적으로 서울시청, 지하철 광화문역, 광화문광장까지 
지하로 연결해 '지하 복합 시민 문화 공간'으로 만들어진다.

서울시는 11일 중앙 정부 소유 '국세청 남대문 별관'과 서울시 소유 '청와대 사랑채'의 재산 맞교환이 이뤄짐에 따라 
국세청 남대문 별관을 7월 말까지 허물고 이 부지에 광장을 조성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78년 만에 철거될 예정인 옛 국세청 남대문 별관이 덕수궁과 서울시의회 건물 사이에 서 있다(위 사진 빨간 점선). 

오른쪽 그림은 이 건물을 허물고 잔디 광장으로 조성한 모습을 상상해 그린 조감도다. 

이 건물에 가려져 보이지 않던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 건물이 세종대로를 지나는 차 안에서도 보이게 된다. 

/김지호 기자·서울시 제공


계획에 따르면 1088㎡(약 330평) 크기의 이 광장은 '역사 문화'를 콘셉트로 조성된다. 
과거 이곳이 영친왕 생모인 귀비 엄씨의 사당인 덕안궁 터였지만, 
일제 강점기인 1937년 이를 허물고 조선총독부 체신국 청사를 세운 역사적 사실을 감안해서다. 
이곳이 광장으로 만들어지면 근대 서울의 모습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의 모습을 
세종대로에서 한눈에 볼 수 있게 된다.

철거는 이달 말부터 시작된다. 총독부 체신국 청사로 시작된 이 건물이 78년 만에 사라지는 것이다. 
철거에 폭파를 통한 공법은 사용되지 않는다. 덕수궁과 대한성공회 등 주요 문화 유적지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 
대신 지반이 취약한 국세청 별관 건물의 특성을 고려하고 소음도 최대한 줄이기 위해 '고층 철거 전용 장비'를 
이용하는 공법이 사용된다. 굴착기 같은 장비를 높이 올려 이용하는 방식과는 달리 고층 전용 철거 장비가 외부에서 
조금씩 압쇄하는 방법으로 건물을 부수는 공법이다. 
1995년 삼풍백화점 건물을 완전히 철거할 때도 이 방식을 택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철거 방식을 놓고 이미 문화재청과 협의를 끝냈다"고 말했다. 
완전한 철거까지는 두 달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세종대로 지도

철거가 끝나면 광복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는 8월과 9월엔 

임시로 광장을 조성해 시민에게 개방한다. 

이어 공모를 통해 광장 설계가 확정되면 내년 초 정식 광장 조성 공사에 들어간다.

이 광장의 지하 공간도 개발된다. 

국세청 별관 지하에는 넓이 360㎡(약 110평) 정도의 지하실이 있다. 

서울시는 이 공간을 확대해 1550㎡(약 470평) 크기의 지하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곳 역시 설계 공모를 통해 이 일대 역사를 알리는 공간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이 지하 공간과 서울시청 지하, 지하철 광화문역과 광화문광장까지 

연결해 복합 시민 문화 공간으로 만드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장기적으로는 서울 세종대로 일대가 지하로 모두 연결되도록 하는 구상을 갖고 있다"며 

"주변에 지하철이 다니는 점 등을 감안해 안전을 확보하면서 시간을 두고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