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2015-06-03
어깨를 살짝 틀어 사선으로 서면(오른쪽 사진) 정면보다 날씬하게 보인다.
박경모 전문기자
포즈 가운데 가장 기본은 서 있는 자세다.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리고 차렷 자세로 서서 카메라를 보면 당당하게 보인다. 하지만 신체가 박스 모양이 돼 밋밋해지기 쉽다. 이때는 체중을 한쪽 다리로 옮기고 반대쪽 발을 조금 내밀면 좋다. 무릎을 굽히고 가슴을 펴 살짝 뒤로 젖히면 키도 커 보이고 자신감도 엿보인다. S라인 몸매를 돋보이게 하려면 살짝 옆으로 서는 게 요령. 몸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조금 틀어 어깨를 사선으로 만들면 얼굴이 실제보다 작아 보인다. 증명 사진이나 프로필 사진도 어깨를 살짝 돌려주면 자연스러운 표정을 얻을 수 있다.
팔과 손의 처리도 중요하다. 자신을 잘 표현해 주는 훌륭한 소품이라고 생각하고 팔과 손을 최대한 활용하자. 특별한 의도가 없다면 팔은 일자로 늘어뜨리지 않는 게 좋다. 팔의 관절을 자연스럽게 굽혀 몸통과의 사이에 공간을 만들면서, 손을 허리나 히프 위치에 두거나 바지주머니에 넣으면 날씬하고 역동적으로 보인다. 앉은 자세에서는 손을 모으거나 얼굴로 가져가 다양한 표정을 연출할 수 있다. 손을 턱에서 머리까지 움직이며 여러 위치에 대보거나 얼굴을 여러 각도로 기울여 가장 자신 있는 모습을 찾으면 된다.
포즈의 마지막은 얼굴과 눈의 표정이다. 밝고 자연스러운 표정이 좋은 사진을 만든다. 촬영 전, 입과 눈 주위 근육을 풀어주고 살짝 미소만 지어도 행복한 표정을 만들 수 있다. 눈은 먼 곳을 응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카메라를 똑바로 보지 않는 게 좋다. 젊은 여성이 양 볼에 살짝 바람을 넣어주고 입술을 내밀면 발랄하게 보인다. 사진에서 시선이란 건물의 창(窓)과 같은 것으로 타인과 교감하는 통로라고 할 수 있다.
프로필 사진만 보고 소개팅에 나갔다가 실망하고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사진의 ‘원판 불변의 법칙’이 깨졌기 때문이다. 원판을 바꿔 버릴 만큼 노력해 실물보다 사진이 더 예쁘게 나오는 사람도 더러 있다. 우연히 잘 찍힌 사진은 없다. 지금 바로 거울 앞으로 가 자신만의 포즈를 연습해 보자.
박경모 전문기자
'文學,藝術 > 사진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멋진 생태사진, 그리고 사진의 윤리 (0) | 2015.06.29 |
---|---|
[박경모 전문기자의 폰카시대]원근법 활용 (0) | 2015.06.28 |
[만물상] 김영갑의 제주 사진 (0) | 2015.06.25 |
공중샷도 찍어준다 … 내 전속 카메라맨 ‘셀카 드론’ (0) | 2015.06.24 |
[권혁재 사진전문기자의 뒷담화]이응준과 레옹 (0) | 201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