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5.07.30)
한국과 일본, 미국, 독일, 호주 등 여러 나라 지식인들이 2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일본 아베 정부의 '과거사 지우기'를
비판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과거는 공개하고, 사죄하고, 용서하여 극복되는 것"이라며
"일본에서 무라야마 담화 이래 진행된 식민 지배 반성 노력을 역전시키려는 아베 정권의 시도는 헛된 망상(妄想)으로 끝날 것"
이라고 밝혔다. 성명은 일본 정부가 종전(終戰) 70주년을 맞아 준비하고 있는 '아베 담화'와 관련,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침략과 식민지 지배가 엄청난 손해와 고통을 준 데 대해 진정한 반성과 사죄를 표명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했다.
2010년 한국과 일본 지식인들이 "1910년 한일 합병 조약은 체결 당시부터 무효"라며 일본의 조선 식민 지배가
2010년 한국과 일본 지식인들이 "1910년 한일 합병 조약은 체결 당시부터 무효"라며 일본의 조선 식민 지배가
불법·강제적이었음을 천명한 이래 일본의 역사 왜곡을 꾸짖는 지식인들의 선언은 여러 차례 있어 왔다.
올 들어 에즈라 보걸 하버드대 교수 등 미국·유럽의 석학들이 "일본군위안부는 끔찍한 야만 행위의 제물(祭物)"이라며
일본의 반성과 성의 있는 해결을 촉구했다.
5월엔 일본 내에서 학자 6900명이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과 폭력성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못 박았다.
이번엔 한·일 학자들이 손을 맞잡았고 여기에 미국·유럽·호주 학자들까지 가세했다. 아베 정부의 역사 왜곡을
내버려둘 수 없다는 지식인들의 목소리가 국경 넘어 공명(共鳴)을 이루며 국제적인 합창이 돼가고 있다.
글로벌 학자·지식인들의 요구는 건전한 상식의 발로이자 각자가 지식인으로서 도달한 역사적 진실의 반영이다.
그런데도 아베 정부는 이를 '쇠귀의 경(經)'쯤으로 알고 과거사 폭주(暴走)를 멈추지 않고 있다. 일본 자민당 산하
특별위원회는 그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부인하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아베 총리는 "(보고서 내용을) 확실히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 정부가 세계 학계에서 용인받지 못하는 억지와 왜곡을 계속하는 한 일본은 아무리 경제력과 군사력을 키워도
국제사회에서 비웃음받는 '역사 인식의 미아(迷兒)'가 될 수밖에 없다.
8월 발표될 '아베 담화'는 일본 집권층의 역사 인식을 가늠할 또 하나의 시금석이 될 것이다.
8월 발표될 '아베 담화'는 일본 집권층의 역사 인식을 가늠할 또 하나의 시금석이 될 것이다.
벌써부터 담화에는 '식민 지배' '침략' '반성' '사죄'라는 네 가지 키워드 중 '식민 지배'와 '사죄'는 빠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는 일본의 중국 침략이나 2차 세계대전 도발에 대해서는 반성하지만, 한국 식민지 지배에 대해서는
사죄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중국·미국에만 반성의 뜻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한국을 고립시키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번 성명에서 학자들은 '과거로부터의 자유'를 말했다. 일본이 과거로부터 자유로워지려면 어두운 역사를 지우는 게
아니라 정직하게 응시하고 반성해야 한다.
성명에 참여한 지식인들은 보수와 진보를 뛰어넘었다.
성명에 참여한 지식인들은 보수와 진보를 뛰어넘었다.
성명은 동아시아의 과거사 문제 해결을 위해 "한·중·일 시민사회가 국가의 거짓된 역사 해석과 배타적 민족주의 선전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과거사 갈등이 민족주의 충돌로 이어져 어떤 불행한 결과를 몰고 올지 알 수 없는 게 작금의
동아시아 상황이다. 한·중·일 시민사회가 이성을 갖고 교류·연대하며 정치인들의 이해(利害)에 따른 민족 감정 부채질에
흔들리지 않아야 이런 불행한 사태를 막을 수 있다.
=================================================================================================
'위안부 강제연행 없었다'는 日 與黨의 제안서… "받아들이겠다"는 아베
(출처-조선일보 2015.07.30 도쿄=김수혜 특파원)
"고노 담화 검증하겠다"는 日 극우 학자들이 만들어
우리 정부 "위안부 강제연행은 국제사회가 판정 내린 사실"
28일 오후 5시 38분, 나카소네 히로후미(中曾根弘文) 전 일본 외무상이 자민당 산하
'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특명 위원회' 위원장 자격으로 총리 관저에 들어갔다.
특위 핵심 멤버로 활동해온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자민당 정조회장이 동행했다.
일본 기자들이 카메라 플래시를 터트리는 가운데, 이들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 누런 봉투를 건넸다.
일본 기자들이 카메라 플래시를 터트리는 가운데, 이들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 누런 봉투를 건넸다.
아베 총리가 그 안에 든 서류를 꺼내 찬찬히 읽고 "똑똑히 받아들이겠다. 잘못된 것은 바로잡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무슨 서류였을까. 제안서였다. 특위가 9개월 걸려서 만들었다.
'일본군위안부 강제 연행은 없었고, 일본 정부는 앞으로 이런 주장을 세계에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요미우리·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아베 신조(오른쪽) 일본 총리가 28일 오후 도쿄 총리 관저에서 나카소네 히로후미 전 외무상으로부터 자민당 당내 ‘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특명위원회’가 작성한 제안서를 받고 있다. /일본 총리 관저 제공 |
일본 정부는 1993년 '고노 담화'를 발표했다.
2차대전 당시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위안소가 설치됐고, 그 과정에 일본군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으며,
위안부들은 본인 의사에 반해 모집됐다"고 일본의 잘못을 인정했다.
아베 정권은 지난해 이런 고노 담화를 검증하겠다고 나섰다.
아베 정권은 지난해 이런 고노 담화를 검증하겠다고 나섰다.
극우파 학자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전 니혼대 교수가 검증팀을 주도했다. 이들은 '강제 연행'을 아주 좁게 해석했다.
군·관이 물리적으로 사람을 질질 끌고 가는 것만 강제 연행이라는 식의 잣대였다.
군속 완장을 찬 업자들이 "군인들 밥만 해주면 된다"면서 소녀들을 끌어모았다는 증언, 군이 그런 업자를 보호하고
군속 완장을 찬 업자들이 "군인들 밥만 해주면 된다"면서 소녀들을 끌어모았다는 증언, 군이 그런 업자를 보호하고
독려했다는 사료(史料), 군이 위안부가 달아나지 못하게 총 들고 감시했다는 증언 등은 제대로 조명하지 않았다.
검증팀은 작년 6월 좁은 의미의 강제 연행은 없었다는 결론을 냈다. 넉 달 뒤, 문제의 특위가 만들어졌다.
검증팀은 작년 6월 좁은 의미의 강제 연행은 없었다는 결론을 냈다. 넉 달 뒤, 문제의 특위가 만들어졌다.
산케이신문이 "총리 스스로 적극적으로 움직이면 국내외에서 '역사수정주의자'로 낙인찍힐 수 있다"면서
"총리는 당에서 오가는 '논의'에 기대하고 있다"고 쓴 직후였다. 그 '논의'가 이 특위였다.
이날 특위가 제출한 제안서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이날 특위가 제출한 제안서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일본은 전쟁 전부터 일관되게 인권을 중시하고 평화를 존중하는 국가로서 걸어왔다"는 주장이었다.
다른 모순도 적지 않았다. 특위는 위안부 제도가 "여성의 인권과 존엄을 현저하게 훼손했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도 "민간업자가 여성들을 모집했다"는 말로 일본군의 책임을 흐렸다.
특위는 앞으로 일본 정부가 "국내외 언론에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한 반론을 하고,
외국 정부와 의회에 압력을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 정부 관계자는 29일 "위안부 모집·이송·관리 과정에서 강제성이 있었다는 점은 이미 국제사회가 판정을 내린
우리 정부 관계자는 29일 "위안부 모집·이송·관리 과정에서 강제성이 있었다는 점은 이미 국제사회가 판정을 내린
역사적 사실"이라며 "이를 뒤집으려는 시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其他 > 韓.日수교5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곳에서 우리 소녀들이 日本軍에 짓밟혔다 (0) | 2015.08.09 |
---|---|
민초 일으켜 회천, 막부 타도한 풍운아 다카스기 신사쿠 … 결단·돌파의 드라마, 아베 정치세계를 지배하다 (0) | 2015.08.03 |
[수교 50년, 교류 2000년 한일]험한 파도 헤치고 도착한 곳… 백제 부흥의 꿈 서린 오사카 (0) | 2015.07.29 |
[수교 50년, 교류 2000년 한일]옷감 짜는 기술 전해줘… 백제의 최신 패션문화 日에 접목 (0) | 2015.07.24 |
[사설] 日 우익의 재일교포 人種주의 공격, 올림픽 개최국 맞나 (0) | 201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