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닷컴 2016.02.20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어린 딸 해를 넘겨 남쪽 머물다 말을 타고 돌아오는 길 집사람은 아련하게 달을 보고 있을 테고 겨울옷을 기운다며 자를 대고 부산떨거나 솜옷 입고 숲속 길을 가는 것과 똑같아서 連歲南征信馬還(연세남정신마환) 家人杳杳應看月(가인묘묘응간월) 補綻寒衣空尺寸(보탄한의공척촌) 正如絮襖行林裏(정여서오행림리) |
정조·순조 연간의 시인 박옹(泊翁) 이명오(1750~ 1836)가 젊은 시절에 썼다.
일 때문에 집을 떠나 남쪽 땅에서 해를 넘겼다. 오랜만에 말을 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다.
가장이 떠난 서울 집은 고생이 말이 아닐 것이다. 찌든 가난 속에 하루하루 버티느라 집사람은 얼마나 힘들었을까?
아마 지금쯤 달을 보며 아련히 나를 그리워하고 있겠지.
그 곁에 어린 딸은 엄마의 속내를 모른 채 멀뚱멀뚱 달을 보고 있으리라.
그러고 보니 딸이 못 견디게 보고 싶다. 엄마 따라 설쳐댈 딸애의 귀여운 모습이 눈에 선하다.
딸애가 눈에 밟혀 가기조차 힘들다. 마치 솜옷이 나뭇가지와 가시에 걸려 힘겹게 산길을 가는 듯하다.
대장부가 이래도 되는가 싶다.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슴으로 읽는 한시] 무료하여 지어본다 (0) | 2016.02.27 |
---|---|
[정민의 世說新語] [354] 신기위괴(新奇爲怪) (0) | 2016.02.24 |
[정민의 世說新語] [353] 조병추달 (操柄推達)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0) | 2016.02.17 |
[가슴으로 읽는 한시] 동대문을 나서다 (0) | 2016.02.13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친구에게 (0) | 2016.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