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6.02.06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친구에게 성격은 괴팍해 늘 조용함을 탐내고 솔바람 소리를 문 닫은 채 듣거나 세상맛은 나이 들수록 각별해지고 깨치고서 한바탕 웃고 나니 | 次友人寄詩求和韻 性癖常貪靜(성벽상탐정) 松風關院聽(송풍관원청) 世味衰年別(세미쇠년별) 悟來成一笑(오래성일소) |
퇴계 이황(李滉·1501∼1570)이 겨울에 시를 써서 친구에게 보냈다.
내가 이런 시를 썼으니 한번 보고 답시를 써서 보여 달라는 요청이다.
현재의 심경에 어떻게 살아가겠다는 속내를 친구에게 먼저 밝혔다.
성격은 조용한 것을 좋아하고 몸은 허약해 추위를 무서워한다. 그래서 밖을 나다니지 않고 집에 틀어박혀 산다.
집에서는 문을 닫고 밖에서 들려오는 솔바람 소리를 듣거나 화로를 끌어안고서 눈에 덮인 매화를 바라보는 낙이 있다.
그 풍경을 보며 노년의 인생을 생각해본다. 세상 사는 맛은 청춘 시절이 제일 좋은 것처럼 보이나 그렇지 않다.
오히려 나이가 들어갈수록 각별한 맛이 있다. 노년은 덤이 아니라 본령이다.
인생의 마지막 장을 잘 사는 것이 정말 어렵다. 노추(老醜)로 살지 말아야겠다.
그렇게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진다. 아! 나는 왜 젊은 시절 그렇게 부귀공명에 안달했던 것일까?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민의 世說新語] [353] 조병추달 (操柄推達)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0) | 2016.02.17 |
---|---|
[가슴으로 읽는 한시] 동대문을 나서다 (0) | 2016.02.13 |
조오현의 ‘내가 나를 바라보니’ (0) | 2016.02.04 |
[정민의 世說新語] [352] 장수선무 (長袖善舞) (0) | 2016.02.03 |
[가슴으로 읽는 한시] 내 생애 (0) | 2016.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