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時流談論

"새마을운동이 베트남 都農 갈등의 해법"

바람아님 2017. 12. 4. 18:31

(조선일보 2017.12.04 구미=이선민 선임기자)


박정희 탄생 100돌 국제학술회의

"개도국 빈곤 해결 모델로 주목"


"새마을운동은 도시와 농촌의 격차를 줄이고 동반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지구촌의 모델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탄생 100돌을 기념하여 그의 업적으로 꼽히는 경제 발전과 새마을운동이 세계적으로 갖는 의미를

짚어보는 국제학술회의가 지난 1일 경상북도 구미시 금오산호텔에서 열렸다.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이사장 좌승희)과

구미시(시장 남유진)가 주최한 이번 국제학술회의에는 미국·중국·일본·베트남·한국 학자들이 참석했다.


당 킴 손 전(前) 베트남 농촌개발정책전략연구소 소장은 베트남이 1980년대 중반 개방 개혁 정책의 실시 이후 경제성장이

본격화하면서 심각한 국가 과제로 부상한 도농(都農)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그는 "2008년 농촌 문제 해결을 위한 회의를 개최한 베트남 공산당은 농민을 개발의 원동력으로 여기는 한국의 새마을운동에

큰 자극을 받았고, 이런 시각에 입각해 신농촌개발(NRD)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다"며

"특히 공동체의 힘을 중시하는 새마을운동은 문화와 전통이 비슷한 베트남에 매우 유용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 마을

지도자 육성을 위한 교육센터 구축 및 교육 자료 개발, 지역 개발 경험을 전수하는 전문가 및 컨설턴트 파견을 요청했다.


용 윤 태국 쭐랄롱꼰대 교수는 "자립하는 마을을 집중 지원하는 경제적 차별 정책이 새마을운동의 성공 비결"이라며

"새마을운동은 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미국의 행동경제학 연구자 리처드 세일러 교수보다 먼저 사람의 행동을 유도하는

데 성과주의가 큰 효과를 거둔다는 점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서종혁 전 농촌경제연구원 부원장은 국제기구들이 개발도상국 빈곤 해결 수단으로 새마을운동에 주목하게 된 과정을

소개했다. 개도국의 빈곤·기아·위생 문제는 대부분 농촌이 대상인데 국제사회는 1950년대부터 지도자 양성, 직접 원조 등

여러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다 경쟁과 차등, 신상필벌(信賞必罰)을 핵심으로 하는 새마을운동이

성과를 거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확산시키려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는 "새마을운동은 소득 증대나 환경 개선을 넘어서 인간과 사회 개조를 꿈꾼 것"이라고 말했다.

1960년대까지 한국 농촌은 신분 차별이 심했는데 마을 단위의 공동 사업을 추진한 새마을운동을 통해 협동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퇴폐한 국민 도의를 바로잡는다'는 5.16 혁명 공약을 수출 주도 고도성장이 궤도에 오르자 실행에

옮긴 것이 새마을운동"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