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2018-11-08)
생명은 어디에서 왔을까?
지구상에 있는 모든 세포가 수십억 년 전에 살았던 최초의 세포들로부터 유래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아득해진다.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이전의 생명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생명이란 모든 유기체 사이의 희미한 연결고리를 암시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런데 여기 그 연결고리 밖에서 생명체를 만들어 내고자 하는 과학자가 있다.
그는 이 생명에 ‘합성생명’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인공생명의 탄생’의 저자인 크레이그 벤터의 이야기다.
인공생명의 탄생
J 크레이그 벤터 지음/김명주 옮김/바다출판사/336쪽/1만 8000원
벤터는 합성생물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에 큰 업적을 남긴 유전학자로,
민간의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주도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이 책을 통해 그의 연구가 기반하고 있는 오래된 질문, 즉 “생명이란 무엇인가?”에
관한 과거 과학자들의 고찰로부터 시작해 자신이 이끌었던 합성생명체 연구의 성과와 함의,
미래 전망까지를 조명한다.
합성생명은 ‘온전히 합성된 암호문에 기반한 자기복제 생명’으로 정의된다.
즉, 컴퓨터로 소프트웨어를 만들듯이 DNA를 디자인해 생명체를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인공생명의 탄생’에서 눈에 띄는 점은 합성생명을 만들어 내는 과정 자체에 관한
상세한 서술이다.
벤터의 연구팀은 2010년에 M.미코이데스라는 박테리아의 유전체를 모두 인공적으로 합성해 다른 종의 박테리아에
이식하는 실험에 성공하는데, 그 실험의 설계 과정과 시행착오들이 여러 장에 거쳐 서술된다.
때로는 단 하나의 문제를 풀기 위해 연구팀 전체가 몇 년을 매달린다.
벤터는 이렇게 만든 합성유전체의 DNA 서열에 리처드 파인먼의 말을 워터마크로 새겼다.
‘창조할 수 없다면 이해한 것이 아니다.’
그동안 인류의 관념에서 생명이란 항상 그보다 더 일찍이 존재했던 조상으로부터 기원한 것이었다.
그러나 벤터가 만들어 낸 새로운 세포는 자연적 역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인류는 진정한 의미에서 생명을 이해하기 위한 첫 관문을 통과한 것일까?
이제 벤터는 더 나아가 과감한 상상을 펼친다.
합성생명은 생물에 관한 인류의 지식을 놀라운 수준으로 증폭하고 새로운 형태의 작물들을 만들어 낼지도 모른다.
빛의 속도로 이동하는 생명의 정보를 상상할 수도 있다.
합성생물학의 파도가 과연 인류의 인식을 어디까지 넓혀 갈지, 지금 이 시점에서는 추측만 할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 흐름을 조금이나마 이해한다면, 파도 타기는 더 재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
(서울신문 2018-11-08) 영웅 같은 과학자는 없어요 연필은 육각형, 색연필은 동그란 이유 아시나요 지구 밖이 궁금한 당신을 위하여 성호르몬이 남녀 뇌 차이 결정?… 그건 과학이 아니라 신화 기후변화·인류세… 인류는 지구를 계속 파괴할 것인가 목성의 달 유로파 탐구… 우리가 우주 유일한 생명체일까 개보다 친근한, 여우를 키워볼까 작은 실수로 인류의 역사가 바뀐다면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720036007 삼겹살 굽는 애묘인 ‘차별의 그늘’ |
'人文,社會科學 > 科學과 未來,環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영웅 같은 과학자는 없어요 (0) | 2018.11.11 |
---|---|
[과학을읽다]①해수면 상승은 '대량살상' 무기?/[과학을읽다]②해수면 상승, 일본·한반도 사라진다 (0) | 2018.11.10 |
[IF] 일산에 들어서는 인공달… 세계 최초로 달 표면 그대로 구현 (0) | 2018.11.08 |
[지구를 보다] ISS에서 본 지구..우리가 지켜야 할 아름다운 세계 (0) | 2018.11.06 |
압도하는 美, 속도내는 中, 진도 못나간 韓 (0) | 2018.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