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2018.11.21 06:27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20일 한ㆍ미 워킹그룹의 출범과 관련해 “상대방과 상의없는 단독 행동을 하지 않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에 북한의 비핵화가 남북관계 증진에 뒤처지지 않도록 보장하길 원한다고 분명히 했다”라고 했다. 남북관계가 비핵화보다 일방적으로 속도를 내고 앞서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다. 폼페이오 장관이 비핵화 진전과 남북관계 속도에 대한 미국 측의 속내를 이같이 노골적으로 표현한 것은 이례적이다. 폼페이오 장관이 양국간 이견을 직설적으로 공개한 자체가 처음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폼페이오 장관은 20일 오후(현지시간)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등 한국 대표단이 스티브 비건 대북 특별대표와 워킹그룹 1차 회의를 위해 국무부 청사에 도착한 직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남북관계와 비핵화 노력의 조율을 위해 한국 정부에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느냐는 질문에 “나는 이것이 어떻게 진행돼야 하는지 한ㆍ미 사이 완전한 합의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제 그(조율) 과정을 공식화하는 워킹그룹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워킹그룹 출범으로) 우리는 서로 딴소리를 하지 않고, 상대방이 모르거나 의견과 생각을 제공할 기회를 갖지 못한 상태에선 우리나 한국이 단독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워킹그룹 출범 전까지 비핵화와 남북관계 조율과정에서 한·미가 서로 딴소리를 하고 상대가 모르게, 의견조율없는 일방적 행동들이 있어 왔다고 인정하는 말이다. 그러면서 “이것이 우리 측에서 비건 특별대표가 이끄는 워킹그룹의 목적”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워킹그룹의 존재 이유가 미국이 사전 설명 없이, 의견을 묻지 않고 남북관계의 어떠한 합의나 진전 등 단독 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란 뜻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비핵화와 남북관계의 완전한 커플링(동조화)을 한국 측에 요구했다고 공개했다. 그는 “한국에 우리는 한반도 평화와 북한의 비핵화가 남북관계의 증가량에 뒤처지지 않도록 보장하길 원한다고 분명히 밝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그것(비핵화와 남북관계)을 함께 전진하는 2인용 자전거로 보며, 중요한 병행하는 과정으로 생각한다”며 “워킹그룹은 그것들이 그런 방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고 덧붙였다. 워킹그룹이 사실상 남북관계가 비핵화를 앞서갈 수 없도록 붙잡는 장치란 점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폼페이오 장관이 남북관계 추진 속도에 대해 불만을 표출한 게 알려진 건 평양정상회담 하루 전날 9월 17일 강경화 외교부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남북군사합의서에 사전 협의가 없었다고 항의한 게 뒤늦게 알려진 게 거의 유일하다. 10월 7일 4차 방북직후 강경화 외교장관과 만난 뒤 "나는 남북관계 진전이 비핵화 진전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한국의 친구 및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력하기를 고대한다"고 적었지만 국무부 공식 입장 수준이었다. 워싱턴 싱크탱크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 만나 "미 국무부가 최근 한국에 화가 난 데 문재인 대통령의 제재 완화 발언이 충격이 컸다"며 "북한이 협상을 기피하고 실질적 진전도 없는 상황에서 북한 입장에 동조하는 듯한 발언을 한·미 비핵화 공조체제에 균열이 갔다고 심각하게 본 것"이라고 전했다. 대북 제재·압박에서 한국의 이탈조짐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는 뜻이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폼페이오 장관이 남북관계 추진 속도에 대해 불만을 표출한 게 알려진 건 평양정상회담 하루 전날 9월 17일 강경화 외교부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남북군사합의서에 사전 협의가 없었다고 항의한 게 뒤늦게 알려진 게 거의 유일하다. 10월 7일 4차 방북직후 강경화 외교장관과 만난 뒤 "나는 남북관계 진전이 비핵화 진전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한국의 친구 및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력하기를 고대한다"고 적었지만 국무부 공식 입장 수준이었다. 워싱턴 싱크탱크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 만나 "미 국무부가 최근 한국에 화가 난 데 문재인 대통령의 제재 완화 발언이 충격이 컸다"며 "북한이 협상을 기피하고 실질적 진전도 없는 상황에서 북한 입장에 동조하는 듯한 발언을 한·미 비핵화 공조체제에 균열이 갔다고 심각하게 본 것"이라고 전했다. 대북 제재·압박에서 한국의 이탈조짐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는 뜻이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時事論壇 > 핫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론>'아르헨티나型 실패'의 전주곡 (0) | 2018.11.27 |
---|---|
<문화논단>한·미 동맹과 대한민국 정체성 위기 (0) | 2018.11.26 |
[김대중 칼럼] 김정은을 '찬양'하는 세상이 오나 (0) | 2018.11.20 |
<시론>文·金, 강대국 무서운 줄 모른다 (0) | 2018.11.15 |
[고재학 칼럼] '과잉의 위력' 민주노총 (0) | 2018.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