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文化/세상이야기

"왜 동의 없이 날 태어나게 해?" 부모에게 소송 걸겠다는 청년

바람아님 2019. 2. 9. 08:23
서울신문 2019.02.08. 09:56


세상은 갖가지 고통을 강요한다. 통증에 괴로울 때도 있고, 교통지옥에 갇혀야 하기도 한다. 평생 죽어라 일해야 하고, 전쟁의 공포에 직면하기도 한다. 우울증에 빠지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을 왜 내 의사에 반해 해야 하는 것인지.

인도 뭄바이의 직장인 라파엘 사무엘(27)은 이런 고뇌가 너무 깊었던 것 같다. 모든 것이 자신의 의사를 묻지 않고 단지 쾌락을 좇아 자신을 이 세상에 나오게 한 부모 탓이라 여겼다. 그리고 생각만 한 것이 아니라 부모를 상대로 소송을 걸겠다고 나섰다고 영국 BBC가 7일(현지시간) 전했다.


물론 그 역시 부모들이 자신의 동의를 구할 수 없었다는 것을 잘 안다. 하지만 “태어나는 것 자체가 우리의 결정이 아니었다”고 했다. 원한 대로 태어난 것이 아니니 여생을 사는 비용을 지불받아야 하는데 부모가 책임지라는 것이 그의 소송 취지다. 그는 변호사들인 부모들과 잘 지내왔으며 부모들은 자신의 소송 얘기가 처음에는 농담인줄 알았다고 털어놓았다.

어머니 카비타 카르나드 사무엘은 “법정에 부모들을 데려가 변호사들이란 점을 만천하가 알게 하겠다는 우리 아들의 저돌성을 존중해야 하겠다. 그리고 만약 라파엘이 동의를 구하기 위해 우리들이 어떻게 했어야 하는지를 이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면 내 잘못을 인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 라파엘의 소송은 철딱서니 없는 투정이나 일하기 싫어 생떼를 부리는 것으로 읽힐 수 있는 여지가 다분하지만 ‘anti-natalism’ 철학을 바탕에 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이완 맥그리거가 감독하고 주연한 영화 ‘아메리칸 패스토럴’에 딸 매리가 빠져든 인도의 극단적인 종교 분파와 맥락이 닿는다.


인간은 지구와 동물들에게 해악만 끼치는 존재니, 아무 폐도 끼치지 말고 조용히 사라져야 한다는 극단적인 주장으로 연결된다. 이런 주장에 동조하는 이들은 숨 쉬는 것조차 해악이라며 마스크로 입을 가리며 시선을 던지는 것조차 폐라며 눈을 가린다.

1년 전 라파엘이 만든 페이스북 계정 Nihilanand에는 포스터들이 게시돼 있는데 이런 문구도 담겨 있다. ‘아이를 세상에 내던져놓고 직업을 가지라고 강요하는 것은 납치해 노예살이시키는 것’이라든가 ‘부모들은 니들을 장난감이나 애완견 대신 가졌을 뿐이다. 빚진 것도 없는데 니들은 그저 오락거리일 뿐’ 등이다.

라파엘은 다섯 살 때 처음 anti-natalism 생각을 갖게 됐다고 털어놓았다. 학교 가기 싫다고 했더니 부모들은 가라고 떠밀었다. 왜 가야 하느냐고 따졌더니 아버지는 대답을 못했다. 아버지가 적절한 답을 했더라면 조금 다른 식으로 생각하게 됐을텐데 그렇지 않았다고 했다.


변호사답게 부모들도 계속 그의 생각을 깊게 하도록 유도했다. 어머니는 태어나기 전에 아들을 만났더라면 필시 동의를 구했을 것이라고 부추겼다. 그녀 역시 너무 어렸을 때 아들을 가져 다른 선택이 있는지 몰랐다고 했다. 하지만 라파엘은 모든 부모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른 길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아이를 낳지 말았어야 했다는 것이다.


6개월 전 아침을 먹으며 소송 얘기를 꺼내자 어머니는 “좋아. 하지만 쉽게 생각하지는 마라. 법원에서 널 부셔줄테니까”라고 답했다. 그는 변호사를 구하고 있는데 자신의 생각을 믿고 지원해줄 적임자를 찾는 데 애를 먹고 있다. 라파엘은 판례라도 남기고 싶다는 소망이다.반응이야 말할 것도 없이 부정적인 것이 대세다. “극단적인 선택이나 하시지”라고 비아냥대거나 자신의 아이들이 보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생각해보라고 조언하기도 한다. 라파엘은 “내 생각에 동조하고 지원하는 이들도 많은데 그들은 어떤 이유로든 앞에 나서지 못한다. 커밍아웃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유명해지려고 별짓을 다한다는 반응도 많다. 라파엘은 “아니다. 내 생각을 공유하고 싶은 것이다. 아이를 낳지 않아야 한다는 간단한 생각 말이다”라고 대꾸했다.


BBC 기자는 참다참다 “태어나서 불행하다는 것이냐”고 물었던 것 같고, 그의 답은 이렇다. “태어나지 않았으면 좋았겠다. 그러나 내가 불행하다고 느끼지는 않는다. 내 인생은 좋다. 하지만 여기 이렇게 있는 것보다 더 나은 존재일 수 있었다. 더 좋은 방이 있다는 걸 알면서 지금 이 방에 있고 싶지 않은 것이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