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kmib.co.kr/online_image/2020/0420/611312110014497610_1.jpg)
미국의 뉴욕타임스(NYT)가 비상사태가 선포된 일본 도쿄의 밤거리 풍경을 전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이 전혀 준수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강제적 조치를 부과하지 않은 일본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분석했다.
NYT는 지난 금요일 저녁 도쿄의 대표적 유흥가인 롯폰기의 레스토랑과 술집에는 사람들이 즐비했다고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마스크를 턱 밑으로 내린 손님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이 무색하게 바짝 붙어앉아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NYT는 일본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켜지지 않은 이유로 두 가지를 들었다. 첫째는 강제성의 부재다. 일본 정부는 시민들이 가급적 유흥을 즐기지 말고 자택에서 대기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는 강제성을 띠지 않는다.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는 외출 자제를 당부하면서도 술집과 음식점이 저녁 8시까지 영업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 때문에 도쿄 시민들은 “코로나19는 야행성이라 8시 이후에만 활동한다”고 농담을 주고받는 등 심각성을 전혀 체감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지난 7일 아베 신조 총리가 도쿄도 등을 시작으로 비상사태를 선언했으나 여기에도 강제성 조치는 없다. NYT는 경제 침체를 우려해 이동제한 등 강제 조치를 미룬 일본 정부가 일본인의 안일한 태도를 만들어냈다고 분석했다.
NYT는 두 번째 이유로 일본의 시민성을 들었다. 일본인 특유의 질서의식과 준법정신이 무료함을 달래려는 시민들로 하여금 유흥가를 더 찾도록 부추긴다는 것이다.
NYT는 그러면서 일본 고유의 거리두기 문화가 코로나19에 대한 방심을 불러일으켰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악수보다는 묵례를 선호하고, 환자가 마스크를 일상적으로 착용하는 문화가 ‘일본인은 전염병에 면역성이 있다’는 황당한 믿음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비상사태 발령 후 지하철 탑승객이 줄고 가라오케 등 일부 유흥업소가 휴업에 들어갔다. 주택가의 공용 스피커에서는 시시때때로 “외출을 삼가고 집에 계세요”라는 안내 방송이 흘러나온다.
그러나 NYT는 “일본 정부는 시민들이 대면 접촉을 종전의 20%로 줄일 것을 권고하지만, 일본인 모두는 그 20% 안에 들려고 몸부림치고 있다고 느껴진다”며 “검사 수가 압도적으로 적으면서도 이미 확진자 수가 1만명을 넘어선 일본의 미래는 암울해 보인다”고 평가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