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2022. 04. 26. 23:37
◆‘7과 3의 예술’에서 7과 3은 도레미파솔라시 ‘7계음’, 빨강 초록 파랑의 ‘빛의 3원색’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큰 감동을 선사하는 예술가들의 삶과 철학을 살펴봅니다. ~김희경 |
아름답지도, 유쾌하지도 않다. 순간을 생생하게 포착해서 정교하게 그려내지도 않았다. 거친 붓질과 일렁이는 선으로 표현한 핏빛 하늘, 해골 같은 얼굴로 비명을 지르는 사람만 덩그러니 있을 뿐이다.
그런데 전 세계 많은 사람이 이 그림을 알고 좋아한다. 노르웨이 출신 화가 에드바르 뭉크(1863~1944)의 ‘절규’(사진)라는 작품이다. 인기가 높은 만큼 패러디도 숱하게 이뤄졌다. 사람들은 대체 왜 절망과 공포만이 가득한 이 그림에 열광하는 걸까.
https://news.v.daum.net/v/20220426233701315
[김희경의 7과 3의 예술] 나와 그대의 절망을 비추다, 뭉크
'文學,藝術 >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목 있는 화가[이은화의 미술시간]〈212〉 (0) | 2022.04.29 |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425] 전쟁에서 영국 걸작을 지킨 미술관장 (0) | 2022.04.27 |
[양정무의 그림세상] 화가 반 고흐, 화상 반 고흐 (0) | 2022.04.24 |
반려견 키우는 건 상류층 전유 문화였다 [김선지의 뜻밖의 미술사] (0) | 2022.04.23 |
명성의 초상[이은화의 미술시간]〈211〉 (0) | 2022.04.22 |